삼성이 2분기 ‘어닝쇼크’에 이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 대형 투자기관들로부터 현금 보유액을 배당금 등으로 주주들에게 환원하라는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 미국 대형 투자기관들이 최근 삼성전자 주식을 대량 매수한 뒤 600억 달러(약 60조원)가 넘는 현금 보유액을 주주들에게 환원하라며 삼성을 압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투자기관에는 뉴욕 헤지펀드사 ‘페리캐피털’, 뮤추얼펀드 운용사 ‘약트먼에셋매니지먼트’ ‘아티산파트너스’가 포함됐다.
이들은 WSJ 인터뷰에서 삼성 경영진과 가진 비공개 회의 자리에서 배당금을 늘리고 자사주 매입을 재개하라고 밀어붙여왔다고 밝혔다. 이 같은 요구는 삼성이 사상 최대 규모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주주수익률이 저조했기 때문에 나온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순이익의 7.2%를 배당금으로 지급해 2007년의 40%에서 급락했다. 이는 인텔 애플 등 경쟁사에 뒤처지는 수준이다. 또 삼성은 2007년 이후 자사주 매입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 비율은 올봄 50% 이상을 기록해 2008년말 약 42%보다 증가했다. ‘번스타인리서치’의 마크 뉴먼 애널리스트는 “올해 삼성이 약 250억 달러의 잉여 현금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내년 말쯤에는 현금 보유액이 1000억 달러(약 100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는 올해 3월 현금 보유액을 사용하는 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에 더 큰 배당을 실시하기 위해서 삼성이 지속적인 성장을 할 필요가 있으며 신규 투자용으로 현금을 보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엎친데 덮친 삼성전자… 美 대형 투자기관들 배당금 확대 압박
입력 2014-07-09 0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