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섭 안행부 후보자 청문회] “5·16, 제 책에 쓴 대로…” 대답에 “무성의” 질타

입력 2014-07-09 02:21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오른쪽)가 8일 인사청문회에서 안행부 관계자로부터 답변과 관련된 설명을 듣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8일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위장전입·특혜성 군복무·고액보수 사외이사 활동 등 각종 의혹이 쏟아졌다. 정 후보자는 주요 의혹에 대해 시인한 뒤 사죄하며 연신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부동산 투기·논문 자기표절 의혹에 대해선 강하게 부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의원은 “정 후보자는 1991년 마포구 망원동의 한 빌라로 위장전입한 사실이 있다. 이는 주민등록법 위반인데 주무부처 장관이 이런 식이면 다른 위반자를 처벌할 때 뭐라고 말할 수 있겠느냐”고 따졌다. 정 후보자는 “젊은 시절의 불찰”이라며 “그 부분은 잘못했다”고 사과했다.

정 후보자가 군법무관으로 복무하던 기간 대학원에 다니며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대학 시간강사로 출강까지 한 사실도 도마 위에 올랐다. 정 후보자는 “박사과정 일부를 군복무 중 다녔다”고 시인했다. 이어 시간강사 출강에 대해서도 “당시에는 교수가 실무경험이 있는 사람이 드물었다”며 “그래서 제가 한 학기 연습강의를 맡은 적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위수 지역 이탈을 한 적은 없다. 법무장교로서 최선을 다해서 직무를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야당 의원들의 비판이 쏟아지자 “이런 논란을 불러일으켜서 정말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정 후보자는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사외이사 등 외부 활동이 과도했다는 점도 인정했다. 새정치연합 유대운 의원이 지난 5년간 가욋일로 번 돈(5억8000만원)이 교수 봉급(5억2000만원)보다 많은 점을 거론하며 “국민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질책하자 정 후보자는 “과한 부분이 있었다. (국민정서에 안 맞는다는) 의원님의 취지가 맞는다”고 수긍했다.

시세 차익을 노리고 부동산 투기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평생 투기라는 것을 해본 적 없다”고 항변했다. 새정치연합 노웅래 의원은 “92년과 97년에 구입한 서울 잠원동 아파트 두 채의 시세 차익이 20억원에 달한다”며 “투기 목적이 아니냐”고 질의했다. 정 후보자는 “거기에 직접 살지는 않았다. 가격은 상승했을 것”이라면서도 “투기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논문 표절 논란을 두고도 추궁이 이어졌지만 정 후보자는 “독창적 대안을 기술하다 보니 중복돼서 반복된 부분은 있다”면서도 “제 평생에 논문을 작성하면서 표절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여당 의원들은 주로 정 후보자에게 충분한 해명의 기회를 주는 데 집중했다.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은 특혜성 군복무 논란과 관련해 “당시에는 법무관들이 대부분 상관의 허가를 받고 다른 곳으로 나간 관행이 있었다”고 거들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5·16에 대해 쿠데타가 맞는다는 소신을 거듭 밝히기는 했지만 불성실한 답변 태도를 보여 진땀을 흘려야 했다. 정 후보자가 “5·16에 대해서 제가 책에 기술한 바와 생각이 같다”며 계속 즉답을 피하자 야당 의원들은 “이렇게 성의 없이 답변하는 청문회 후보자는 처음 봤다”고 비난했다. 새누리당 소속 진영 안행위원장까지 나서 “제가 봐도 국민들이 보기에 답답한 부분이 있을 거 같다. 진정성을 가지고 솔직하게 답변해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유성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