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에너지 우주선’이 어디서 생성되는지가 규명됐다. 성균관대는 한국 미국 일본 러시아의 과학자 125명으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팀 ‘텔레스코프 어레이’가 극한에너지의 우주선이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근처에서 생성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극한에너지는 인간이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의 한계치를 뜻하며 우주선은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지는 양성자 등의 입자를 총칭한다. 우주선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러시아의 과학자 헤스에 의해 1912년 발견됐지만 생성 영역과 전파 과정 등은 100년 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미국 유타 사막에 북반구 최대 크기의 초고에너지 우주선 관측소를 설치해 2008년부터 5년간 극한에너지의 우주선 72개 중 19개가 북두칠성 근처에서 나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우주선의 4분의 1이 우주 하늘의 16분의 1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나온다는 결과로 극한에너지를 나타내는 우주선이 특정 지역에서 형성됐음을 의미한다. 아직 극한에너지의 기원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우주 내에 활동은하핵이나 감마선 폭발 등이 이론적으로 가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성균관대 박일흥, 한양대 천병구 김항배, 이화여대 양종만, 울산과기대 류동수, 연세대 권영준 교수 등 6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우주線 생성과정 규명 북두칠성 근처에서 발생… 한·미·일·러 공동연구팀
입력 2014-07-09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