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억제책에도 선행학습이 더욱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벌 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시민단체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교육걱정)이 7일 발표한 서울 강남·강서·노원·송파구 중대형 학원 10곳의 수학·과학 선행교육 실태조사에서 이같이 확인됐다.
지난해까지 조사 대상 학원들은 정규 교육과정보다 평균 3년 9∼10개월(3.8년) 앞선 내용을 가르쳤지만 올해는 4년으로 늘었다.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에 정규 교육과정에서 배우지 않은 내용을 출제하지 못하도록 한 ‘선행학습금지법’이 오는 9월 시행을 앞둔 상황이지만 개선되기는커녕 오히려 악화됐다.
서울 강서구 C학원 영재고·과학고반의 경우 중학생에게 대학 2·3학년 과정에 해당하는 정수론을 편집해 가르친다고 홍보하고 있었다. 이 학원은 지난해까지 2년 정도를 선행해 가르쳤지만 지금은 7년 앞서는 과정을 신설한 것이다. 서울 대치동 등에 위치한 M학원은 초등학교 3·4학년에게 중학교 과정, 4·5학년에게 고교 과정, 이후엔 대학 과정을 배우게 하는 등 평균 6년이나 앞선 내용을 가르치고 있다.
사교육걱정 정책대안연구소 안상진 부소장은 “선행학습 과정을 홍보하지 못하게 막고 있지만 9월 시행 예고된 선행학습금지법이 학원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정부 억제에도 선행학습 기승… 정규 과정보다 평균 4년 앞서”
입력 2014-07-08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