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亞 진출 분야 ‘철도’ 등 대폭 확대… 민·관 ‘경제협력위’ 추진

입력 2014-07-08 02:32
정부와 재계가 중앙아시아 진출 분야를 기존의 에너지·석유화학에서 벗어나 철도, 주택건설, 환경, 방위산업, 정보통신기술(ICT)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한다. 중앙아시아와의 협력관계를 동북아시아 에너지 인프라와 연계하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전략’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국제회의장에서 중앙아시아 순방 경제사절단 합동토론회를 열었다. 산업부는 후속 조치로 ‘민관 중앙아시아 경제협력위원회’를 만들기로 했다. 협력위는 유라시아 대륙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어 한반도 평화기반을 구축하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뒷받침하는 작업을 한다.

우선 협력위를 축으로 우리 기업의 진출 분야를 다각화하고, 섬유·태양광·농업 분야에 중소·중견기업의 진출을 지원하는 전략을 실행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경제협력과 연계한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을 추진키로 했다. 동북아 전력망·가스관·송유관 등 에너지 인프라사업과 철도 등 유라시아 물류망 구축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특히 산업부는 중앙아시아의 대형 사업을 우리 기업이 신규 수주할 수 있도록 협력채널을 가동할 예정이다. 우즈베키스탄의 칸딤 가스전 개발(40억 달러), 카자흐스탄의 텡기즈 유전확장 사업(35억 달러), 에키바스투스 석탄화력발전소 사업(10억 달러) 등이 대상이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때 318억 달러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 진출 기반을 만들었다”며 “우리 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경제외교를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회에는 한정화 중소기업청장,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