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 소재의 한 상호금융조합은 12명에게 빌려준 76억6200만원어치의 대출금에 대한 자산건전성을 잘못 분류해 두고 있었다. 담보물이 경매에 부쳐졌는데도 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수십억원의 여신을 ‘고정이하’로 분류하지 못하고 ‘정상’ 처리했던 것이다.
이처럼 대출 리스크 파악에 어려움을 주던 신용정보 입수 체계가 개선된다. 6일 금융감독원은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조합과 함께 대출 뒤 자산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정보 신속 입수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은행연합회를 통해 입수되는 신용정보로는 건전성이 실제보다 과대평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차주가 폐업한 사실마저 알지 못해 대출금 분류를 ‘정상’ 처리한 경우도 있었다.
금감원 등은 차주의 휴·폐업, 세금 체납, 개인회생 및 워크아웃 등 금융권 밖의 정보를 누락하지 않기 위해 애쓰고 있다. 각 상호금융권역 중앙회가 신용정보회사와 연계토록 해 외부 정보를 일괄적으로 입수하고, 해당 정보를 자산건전성에 자동 반영키로 했다. 금감원과 상호금융권역 중앙회들은 2015년 6월까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고, 지난 4월 한 차례 회의를 열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차주 휴·폐업, 세금 체납 등 한눈에 알수있게… 금감원, 상호금융권 대출 정보 수집 강화
입력 2014-07-07 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