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정상은 양국이 북한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두 정상은 4일 서울 성북구 대사관로 한국가구박물관에서 가진 비공식 특별오찬에서 북한 문제에 대해 많은 얘기를 나눴다고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춘추관 브리핑에서 전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에 공감한 데서 더 나아가 드레스덴 선언을 실천하는 데 동참하겠다고 했다. 인도적 문제 해결·공동번영 인프라 구축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비정치 분야 변화뿐 아니라 북한이 국제사회에 나오도록 유도하는 게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박 대통령은 “드레스덴 구상이 바로 그런 일을 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북한 어린이를 위한 인도적 지원, 민생 인프라 지원, 기술을 가르쳐 잘살게 하고 북한이 바깥도 보도록 하는 게 좋겠는데 북한이 핵에만 집착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양국 정상은 가능한 접점을 모색해 민생 인프라 등 북한 변화를 견인하는 데 필요한 사업에 상호 협력하는 방안과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했다고 주 수석은 밝혔다. 또 2일간 계속된 회담을 통해 양국 정상은 한반도 평화통일을 추진하는 데 대한 당위성에 상당히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평화통일을 위한 기반 구축과 여건을 마련하는 데도 서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북한이 드레스덴 선언을 반대하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전날에 이어 지지 입장을 밝힘에 따라 향후 북한 측 대응과 동북아 정세에 관심이 쏠린다. 시 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북한은 중단거리 발사체를 잇달아 동해상으로 발포하기도 했다.
드레스덴 구상은 박 대통령이 지난 3월 독일 드레스덴 공대 연설을 통해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3대 제안을 담아 발표한 것을 가리킨다. 박 대통령은 전날 회담에서도 드레스덴 구상의 내용과 당위성을 시 주석에게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기울인 한국 측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으며 이 내용은 양국의 공동성명에도 적시됐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北 변화 촉진위해 협력” 합창, 시 주석 “드레스덴 선언 실천에 동참” 밝혀
입력 2014-07-05 0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