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시끄럽다. 오는 30일 실시되는 국회의원 재보선 공천 후유증 때문이다. 전략지역으로 결정된 서울 동작을 공천에서 탈락한 허동준 전 동작을 위원장은 국회 당 대표실에서 농성 중이고, 금태섭 대변인은 4일 전격 사퇴했다. 광주 광산을에 신청한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느닷없이 동작을에 낙하산 공천한 데 대한 반발이다. 서울시당 위원장 오영식 의원 등 의원 31명은 전략공천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당내 저항도 거세지고 있다.
이번 재보선은 의원 15명을 새로 뽑는 선거다. 결과에 따라서는 여소야대 국회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선거여서 여야는 당선 가능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공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새정치연합이 박원순 서울시장 최측근인 기 전 부시장을 차출한 것은 여유 있게 재선에 성공한 박 시장의 ‘후광효과’를 바라서다.
기 전 부시장은 공천 사실을 통보받기 전날 광주에서 선거사무실 개소식을 열었다. 서울에 출마할 생각이 없었다는 말이다. 지도부가 ‘꼭 봐줘야 할 사람’ 챙길 작정이 아니라면 그를 불러올릴 이유가 없다. 지도부 주장대로 그가 경쟁력을 갖췄다면 정정당당하게 경선을 실시하면 될 일이다. 동작을을 전략지역으로 결정한 것 자체가 당초 당이 제시한 공천 기준과 원칙에 위배된다. 새정치연합은 일찍이 지지율 강세 지역은 경선, 열세 지역은 전략공천 방침을 정했다. 전략지역으로 선정한 동작을, 광주 광산을과 수원 3개 선거구는 새정치연합 열세 지역이 아니다. 특히 절대 강세 지역인 광산을까지 포함시킨 걸 보면 지분 나눠먹기용이라는 의혹을 피하기 어렵다.
스스로 만든 원칙과 기준을 무시하면서 새정치를 하겠다는 것은 언어도단이다. 단어만 전략공천으로 바뀌었지 과거의 밀실공천과 하나도 다른 게 없다. 지도부 마음대로 공천할 거면 굳이 원칙과 기준을 만들 필요가 없다. 물론 전략공천은 필요하다. 하지만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새정치연합이 7·30 선거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착각에 사로잡힌 듯하다.
[사설] 새정치연합, 공천 원칙과 기준 있기나 한가
입력 2014-07-05 0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