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무게중심 北 편중 탈피 ‘출발점’

입력 2014-07-03 03:34 수정 2014-07-03 10:07
박근혜 대통령은 3일 한국을 처음 국빈방문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의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중국 최고지도자가 북한에 앞서 한국을 먼저 방문하는 것은 처음이다. 이번 회담은 중국이 과거 북한에 치우쳤던 외교관계에서 벗어나 정치·경제 등 다방면에서 한국 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는 출발점이 될 전망이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2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두 정상은 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평화와 안정 증진 관련 협의 강화, 지역 및 국제 문제에서의 협력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중 정상은 회담에서 전략적 협력 동반자인 양국 관계의 심화 발전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할 방침이다. 두 정상은 회담 직후 북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상황, 지역·국제 협력 방안 등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또 '고노 담화' 검증, 집단자위권 각의 결정 등 일본의 우경화 문제와 이에 대한 양국의 공동대응 방안도 협의한다. 공동성명에 일본을 적시하지는 않되 '역내 국가 간 대립과 불신이 심화되는 상황을 우려한다'는 취지의 경고 메시지가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이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일본을 압박할 가능성도 높다.

아울러 두 정상은 한·중 경제 협력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양국 국민의 영사보호 강화를 위한 영사협정,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촉진 등 10여개 협력 문건에도 서명한다.

시 주석 방한에는 왕후닝, 리잔수 당중앙정치국 위원과 양제츠 국무위원 등 부총리급 인사 3명, 왕이 외교부장 등 장관급 인사 4명을 비롯해 80여명이 수행한다. 중국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경제계 인사 200여명도 동행한다.

박 대통령은 이날 방송된 중국 국영 CCTV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검증을 언급하며 "국가 간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일본이 위안부 문제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고 하면서도 작성 경위를 검증함으로써 담화를 훼손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혁상 손병호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