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2일 공개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민의료비 통계는 우리 국민의 고단한 삶을 투영한다. 자살 사망률은 2012년 기준 10만명당 29.1명으로 OECD 34개 회원국 중 10년 연속 1위를 지켰고, 남성 흡연율은 그리스에 이어 두 번째였다. 2007∼2012년 국민의료비 증가율은 6.6%로 OECD 평균(2.3%)의 3배에 달했다.
출구 없는 현실에 스스로 목숨을 끊고 팍팍한 삶을 담배에 의지하는 한국인의 슬픈 자화상이다. 자살예방 캠페인을 벌이고 일부 지자체가 독거노인들과 심리상담사를 연결해 자살률을 낮추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10년째 자살률 1위 오명을 이어가는 것은 참담한 일이다. 자살로 인한 사망이 교통사고 사망자의 3배에 달한다고 하니 기가 막힌다.
자살률은 모든 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나지만 특히 청소년과 노인 자살률이 급증하는 게 문제다. 한국의 노인 자살률은 10만명당 80.3명으로 일본 스웨덴 프랑스 등에 비해 3배가량 높다. 우리나라 노인 자살률이 높은 것은 OECD 최고인 노인 빈곤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사회는 희망과 활력을 잃고 퇴조하기 마련이다. 자살률을 낮추려면 사회안전망을 튼튼히 구축하고 성적 지상주의 교육 시스템을 개선하는 게 시급하다. 일본처럼 자살예방 특별 기구를 설치해 범정부 차원의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의료비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도 걱정스럽다. 현재 100조원에 달하는 국민의료비가 2020년에는 242조6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와 있다. 고령화사회에서 의료비 증가는 불가피하더라도 이 추세대로라면 감당하기 힘들다.
과잉 진료를 줄이고 무엇보다 흡연, 음주 등을 줄여 국민들이 병상에서 인생의 종말을 맞지 않도록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국민의료비 중 가계가 직접 부담하는 비중이 35.9%로 OECD 평균(19.0%)보다 높다. 가계부담을 낮추고 공공의료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사설] 자살률·흡연율 최악이란 오명 언제 벗을까
입력 2014-07-03 02:13 수정 2014-07-03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