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의 명수’… 與 지도부도 등 돌리나

입력 2014-07-01 03:34
논문 표절 및 연구비 부당수령 의혹을 받고 있는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야당이 추가 의혹을 제기하는 가운데 여당 지도부마저 등을 돌리고 있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30일 CBS 라디오에서 “국민적 눈으로 볼 때 논문 표절이나 연구비 이런 것들에 문제가 있다면 통과를 못 시키는 것”이라며 “인사청문회를 열어 객관적으로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 비대위원장은 “여당이 내놓은 후보이기 때문에 통과시켜야 된다는 선입견은 없다”고도 했다. 인사청문회에서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김 후보자를 보호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새정치민주연합 유은혜 의원은 김 후보자의 승진심사 논문 중 유일하게 표절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던 ‘초·중등 교원 선발 및 임용에 관한 고찰’도 다른 사람의 논문을 최소 3편 이상 번갈아가면서 베낀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로써 김 후보자의 부교수·정교수 승진논문 4편은 모두 표절 시비가 붙었다. 유 의원은 “김 후보자의 정교수 승진 당시 제출된 이 논문은 전체 22쪽 가운데 8쪽에서 다른 논문을 베끼거나 조사와 어미, 단어만 살짝 바꿔 쓴 흔적이 발견됐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논문 가운데 ‘신규 교사 임용 제도의 기능’ 부분은 김용숙씨 등 4명의 ‘교원 임용고사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를 거의 그대로 옮겨 적었다. 또 ‘신규 채용의 과정’ 부분은 김씨 등의 논문과 신광호씨의 ‘초등교원 신규 채용 정책의 개선방안 탐색’을 번갈아 베꼈다는 지적이다.

같은 당 박홍근 의원은 김 후보자의 연구부정 의혹 행위를 분석한 결과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이 시행된 2008년 7월 이후 발생한 표절과 부당한 논문저자 표시 행위가 모두 5건이라고 밝혔다. 또 김 후보자가 한국교원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업 보강을 실시하지 않고 교원대 종합교육연수원장 재직 시절 경비를 미등록 계좌로 관리해 교육부 감사에서 2차례 적발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또 같은 당 유기홍 의원은 김 후보자가 지난 10년 동안 제출한 46편의 논문 중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급 단독 연구는 단 2편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