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한 시민단체가 주관한 홍콩 행정장관 선출과 관련한 비공식 국민투표에 대해 중국이 불쾌한 감정을 쏟아냈다고 AFP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인민일보는 논평을 통해 “홍콩의 자치권은 고유권력이 아니라 중앙(정부)이 부여한 지방사무 관리권”이라며 “중앙정부의 전면적 통치권 유지와 홍콩의 자치권 보장이 결합됐을 때에만 홍콩인의 자유와 기본 권리가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시민단체 ‘센트럴을 점령하라’는 지난 20일부터 29일까지 2017년 직선제로 치러지는 행정장관 선거에서 후보자 추천 방식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놓고 비공식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1997년 중국에 반환된 홍콩은 간선제를 통해 행정장관을 선출해 왔다. 그런데 직선제로 선거제도가 바뀌면서 중국은 친중 성향의 인사가 당선되도록 하기 위해 후보추천위원회 추천을 받은 인사만 입후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에 발끈한 ‘센트럴을 점령하라’는 국민투표를 진행했고 무려 78만7767명이 참여하며 뜨거운 호응을 보였다. 홍콩의 전체 유권자가 347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20%가 넘는 시민이 비공식 투표에 참여한 셈이다.
참가자들은 등록 유권자 1% 이상의 서명을 받거나 입법회(의회) 선거에서 5% 이상 지지를 받은 정당의 추천을 받으면 행정장관 출마가 가능토록 한 안에 47.2%의 지지를 보냈다. 심지어 정부가 국제 기준에 맞지 않는 선거 방식을 내놓을 경우 입법회가 거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87.8%가 “그렇다”고 답했다.
주최 측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에 태도 변화를 압박할 방침이다. 홍콩 주권 반환 기념일인 1일에 진행되는 연례 민주화 요구 행진에서도 관련 요구가 봇물처럼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를 이끌고 있는 베니 타이 홍콩대 부교수는 “정부가 투표 결과 수용을 거부하고 다른 제안을 내놓으면 또 다른 시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국무원 산하 홍콩·마카오판공실은 대변인을 통해 “이번 투표는 불법이며 아무런 효력을 갖지 못한다”고 일축했다.
이제훈 기자
홍콩 행정장관 선출 비공식 국민투표 유권자 78만여명 참여 호응
입력 2014-07-01 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