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멀다 하고 새롭게 터져 나오는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의혹에 머리가 어지러울 정도다. 한두 개의 흠결만 있어도 국회 청문절차 통과를 장담하기 어려운데 그의 의혹 릴레이는 터진 모래자루처럼 도무지 끝을 볼 수 없다.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이 30건을 넘었고, 앞으로 또 얼마나 많은 의문이 제기될지 가늠조차 하기 어렵다.
이렇게나 열거하기 힘든 많은 의혹에 휩싸인 장관 후보자는 일찍이 없었다. 논문 표절에 제자논문·연구비 가로채기, 제자들에게 수업·강연원고·신문칼럼 떠넘기기, 허위경력 기재 논란 등 편법과 비리의 종합선물세트를 보는 듯하다. 게다가 지난 5년간 연구부정 행위로 11건의 연구 참여 제한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백번을 양보해 당시 관행이 그랬다 해도 이 정도면 학자적 양심을 포기한 이라 해도 틀린 말이 아닐 듯하다.
개중에는 과장된 측면들이 있을 것이다. 부교수, 정교수로 승진하기 위해 경력을 조작하고 논문을 표절했다는 일부 주장은 선뜻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김 후보자가 재직 중인 한국교원대가 승진심사 과정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사실에 대한 검증을 허투루 하지 않았을 거라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김 후보자는 이 문제를 포함해 그 어떤 의혹에 대해서도 시원하게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해명할 시간이 충분히 주어졌음에도 계속 침묵으로 일관하는 까닭을 유추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청와대 설명을 빌리면 김 후보자를 대한민국의 100년을 책임질 교육부 수장으로 발탁한 이유는 ‘탁월한 연구실적’과 ‘청렴한 성품’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전제가 잘못됐다는 정황들이 시나브로 사실로 굳어지고 있다. 의혹들이 사실이라면 탁월한 연구실적은 대부분 표절하고 짜깁기한 것에 불과하다. 성품 또한 청렴과는 거리가 멀다. ‘자연인 김명수’는 존재해도 ‘교수 김명수’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 교육부 장관은커녕 교수 자격도 없다는 야당의 지적을 결코 지나치다고 할 수 없다.
국회의 정부조직법 개정 과정을 지켜봐야겠지만 앞으로 교육부 장관 역할은 교육 분야에만 머물지 않는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사회부처를 통할할 태스크포스 필요성이 제기됐고, 그 역할이 교육부 장관에게 주어졌다. 의혹투성이인 김 후보자가 신설될 사회부총리 위상에 걸맞은 책임과 의무를 다할 수 있을지 동의하기 어렵다. 새누리당의 분위기도 바뀌었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국민적 눈으로 볼 때 문제가 있다면 통과를 못 시키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는 오는 9일 열린다. 김 후보자가 미련을 버릴 때다. 오래 끌어선 안 된다.
[사설] 金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이쯤에서 내려놔야
입력 2014-07-01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