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야당과도 만나야 100% 대한민국 대통령

입력 2014-07-01 02:12
박근혜 대통령이 30일 청와대에서 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의장과 나성린 수석정책위부의장을 면담했다. 박 대통령이 이완구 원내대표와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를 면담한 지 불과 닷새 만에 새누리당 지도부를 또 접촉한 것은 전례가 없다. 새누리당에선 당청 간 소통 강화의 신호탄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소통 부재는 박 대통령의 최대 약점에 속한다. 대통령 선거 때 대화와 타협의 정치, 화해와 통합의 정치를 하겠다고 다짐했으나 취임 후 1년4개월여 동안 보여준 것은 독선과 불통이었다. 계속되는 고위 공직자 인사 실패는 여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세월호 참사를 수습하는 과정에서도 성난 민심을 정확히 읽지 못했으니 대통령 지지율이 떨어지는 건 당연하다 하겠다.

이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를 연쇄 접촉한 것은 잘한 일이다. 지금부터라도 당을 통해 겸허한 자세로 국민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뜻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집권당의 주요 인사가 대통령이 지명한 총리 후보자의 사퇴를 공개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비정상이다. 대통령과 직접 만나 건의할 수 있는 사안을 언론을 통해 주장하는 것은 대통령이 면담 기회를 주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의 지도부는 말할 것도 없고 초·재선 의원들과도 수시로 만나 그들의 의견을 국정에 반영하기 바란다.

더 나아가 야당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할 것을 권한다.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대선 이후 강도 높게 자신을 비판해 온 새정치민주연합에 나쁜 감정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어차피 야당도 국정의 동반자다. 어찌 보면 대통령은 야당의 쓴소리까지 수용해야 할 의무가 있다. 특히 현재로선 이른바 ‘국회 선진화법’ 때문에 새누리당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구조다. 대통령이 국민에게 약속한 주요 국정과제와 개혁정책을 힘차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야당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면담하는 날 새정치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반쪽짜리 대통령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되어 달라”며 야당 지도부와의 면담을 요구했다. 야당이 대통령과 소통을 하려는데 대통령이 피하는 것은 편협한 자세다. 새정치연합은 대통령의 외국 방문에 소속 국회의원을 동행시키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환영만찬에 원내대표를 참석시키기로 결정하는 등 다소 유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차제에 박 대통령이 호응해 불통 이미지를 씻는 게 좋겠다.

박 대통령은 야간에 보고서를 읽느라 정신이 없다지만 여야 정치인을 비롯한 각계 인사들을 만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국정 최고지도자가 그들에게서 좋은 아이디어를 얻고 협력을 구하는 것보다 중요한 일이 어디 있겠는가. 훌륭한 고위 공직 후보자도 이런 자리에서 천거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청와대를 적막한 구중심처로 남겨둘 것이 아니라 소통의 장으로 적극 활용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