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 깊어지는 박대통령… 잇단 인사 실패로 지지율 최저수준

입력 2014-06-30 03:34

세월호 참사 이후 국정 주도권을 잃어버린 박근혜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지율은 지속적으로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지만 이를 반전시킬 모멘텀은 좀처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정국 전환 카드로 준비했던 청와대 및 내각 개편 역시 잇따른 인사 실패로 빛이 바랬다.

우선 박 대통령 지지율은 반등보다 추가 하락을 걱정해야 할 상황이 돼 버렸다. 한국갤럽이 지난 27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42%에 그쳤다. 전주보다 오히려 1% 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지난해 취임 직후인 3월 말∼4월 초 잇따른 인사 실패로 41%를 기록한 이후 최저치다. 이 조사는 지난 24∼26일 휴대전화 RDD(임의 전화조사) 방식으로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 포인트, 응답률은 16%다. 특히 수도권에서의 민심 이반은 위험 수위다. 긍정적 평가는 37%에 불과한 반면 부정적 평가는 52%에 달했다. 가장 큰 원인은 역시 잇따른 인사 파동이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안고 있는 가장 큰 고민은 앞으로도 정국을 극적으로 반전시킬 묘약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향후 정치일정을 보면 오히려 악재가 산재해 있다. 7월 초부터는 새로 지명된 장관 후보자 7명,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청문회가 잇따라 열린다. 야당은 일부 장관 후보자 '수용 불가론'을 외치며 철저한 검증을 벼르고 있다. 다음 달 14일로 예정된 새누리당 전당대회 역시 청와대로선 달갑지 않은 이벤트다. 친박(친박근혜) 대 비박(비박근혜)의 대결 구도로 펼쳐지는 이번 전당대회에선 당·청 간 불통에 대한 논란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매머드급으로 치러지는 7·30 재·보궐 선거도 야권으로선 정권 공격의 호재다. 여권 관계자는 29일 "박 대통령으로선 일단 조용히 할 일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우려를 의식한 듯 유임된 정홍원 국무총리의 행보는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다. 박 대통령의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도 읽힌다. 정 총리는 휴일인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총리실 긴급간부회의를 소집했다. 3시간 넘게 이어진 회의에서 그는 '국가 개조'를 거듭 강조하면서 세월호 추모비·추모공원 및 국민안전기념관 건립 추진을 약속했다. 진도 실종자 가족과 총리실 간 '핫라인' 개통, 4월 16일의 '국민 안전의 날' 지정도 추진키로 했다.

정 총리는 특히 "어제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총리실을 만든다는 각오로 심기일전해야 한다"며 "주도적으로 정책을 조율하고 끌고 가는 기관사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회의에선 "총리실부터 변해야 한다"는 간부들의 자성 목소리도 나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