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탱크 중국사회과학원 “간첩 침투… 색출 작업”

입력 2014-06-28 03:57

중국 정부의 최대 싱크탱크인 중국사회과학원에 최근 간첩 색출 바람이 불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주도로 안보총괄기구인 국가안전위원회가 새로 출범한 데 이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중국은 그동안 정부 부처나 연구기관 인력이 내부 정보를 유출하는 행위를 간첩죄로 처벌해 왔다.

홍콩 명보는 탕쉬쥔(唐續軍) 사회과학원 뉴스 및 매스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이 26일 기자를 만나 "지난 수년 동안 사회과학원 연구원 가운데 정보를 팔아 넘겨 간첩죄로 수감된 사례가 있었다"고 시인했다고 27일 보도했다. 탕 소장은 "이러한 행위는 외국 세력이 사회과학원 내부에 침투했기 때문"이라면서 "현재도 적대 세력이 온갖 경로를 거쳐 지속적으로 사회과학원에 침투해 연구원들을 타락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중앙기율검사위 사과원 기율검사조 조장 장잉웨이(張英偉)는 "사회과학원은 외국 세력의 점조직 침투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도 "사회과학원 내부 '극단적인 개별 학자'가 국가와 민족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외부 세력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런 사람들을 학술계에서 몽땅 쓸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사회과학원은 현재 내부 인력을 대상으로 정보를 외부에 흘린 사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가 정보 유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주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로 내부 자료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기 위한 것이다.

이뿐 아니라 국가안전위는 중국 내에서 활동하는 외국의 비정부기구(NGO)에 대해서도 중국 정부기관 등이 민감한 정보를 흘리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탕 소장은 "사회과학원은 당 중앙의 싱크탱크"라면서 "그런 만큼 모든 연구원이 외부 세력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전체적인 학술 연구는 이번 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면서 "여전히 외국과의 정상적인 학술 교류는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은 간첩 행위 조사는 중국 정부 부처는 물론 여타 연구 기관의 외국과의 교류를 위축시킬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안전부는 2009년 한국과 일본에 대한 간첩 행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부소장 진시더(金熙德)와 한국연구센터 연구원 리둔추(李敦球)를 간첩 혐의로 체포한 적이 있다. 이들은 각각 한국과 북한, 일본에 기밀을 누설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사회과학원은 국무원 직속 국책 싱크탱크로 베이징 외에 각 성에도 설치돼 있다. 동북공정도 사회과학원 산하 변강사지연구센터가 주도한 것이다.

시 주석은 지난 4월 15일 국가안전위 첫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대외적 주권 안보 및 대내적 정치 안보 등 포괄적 안보 개념을 주창한 바 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