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유임 후폭풍] 김기춘 책임론, 여당내서 ‘지뢰밭 잠복’

입력 2014-06-28 03:44
정홍원 국무총리 유임 결정으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책임론이 한풀 꺾이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지뢰들은 여전해 잠복한 '김기춘 책임론'이 언제든 불붙을 소지는 다분하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27일 "이제는 국가 대개조에 매진해야 할 때"라며 "김 실장 거취와 관련된 정제되지 않은 주장들은 자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당권 주자들도 김 실장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정 총리 유임으로 총리를 둘러싼 논란이 일단락됐다고 몰아붙이는 분위기 속에서 '김기춘 책임론'을 고집하기가 힘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새누리당 소장파와 비주류의 생각은 다르다. 세월호 참사 수습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던 정 총리가 유임됨으로써 박근혜정부에서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한 수도권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직접적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상황에서 정 총리까지 유임됐다"며 "박근혜정부를 이끄는 최고위 인사 중에서 누군가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면 이제 김 실장 밖에 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장관 몇 명을 교체한 것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정치 스케줄도 변수다. 새누리당의 차기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을 뽑는 7·14전당대회와 역대 최대 규모라 '미니 총선'으로 불리는 7·30 재·보궐선거가 기다리고 있다. 전당대회에서 이른바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논란이 재연되거나 7·30재보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할 경우 '김기춘 책임론'이 전면에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새누리당은 인사청문제도 개선을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완구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당내에) 인사청문제도 개혁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면서 "다음 주부터 야당과 진지한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윤석 의원이 TF 위원장을, 박민식 의원이 간사를 각각 맡았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인사청문제도 개선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성과는 미지수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