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청문회, 인격살인 도구 전락” 野 “어불성설… 문제는 靑 시스템”

입력 2014-06-27 02:25
인사청문회 제도 개선을 둘러싼 여야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청문회가 공직 후보자 자질 검증이라는 원래 목적과 달리 ‘신상털기’ ‘인격살인’의 도구로 악용된다고 비판하고 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청와대의 검증 실패를 청문회 제도 탓으로 돌린다며 맞받아치는 양상이다.

여야가 인사청문회 제도 개선을 놓고 공방을 벌이는 속내는 따로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7·30 재·보궐 선거 전에 경제부총리·국정원장·장관 후보자 9명의 청문회가 예정돼 있다. 여기에서 예기치 않은 의혹들이 터져 나올 경우 재보선의 결정적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청문회를 공세의 장으로 활용하려는 새정치연합과 이를 막아야만 하는 새누리당이 기 싸움을 펼치는 이유다.

새누리당 이완구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26일 정홍원 총리 유임 소식을 들은 직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인사청문회가 본래의 취지에 맞게 발전적이고 생산적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윤상현 사무총장은 “결론부터 미리 내리고 공직 후보자를 나쁜 사람으로 색칠해 버리는 야당의 공세 앞에 누가 온전할 수 있겠느냐”며 “정치공세 인사청문회, 망신주기 인사청문회는 구태정치”라고 했다. 새정치연합은 “문제는 청와대의 부실한 인사시스템”이라며 ‘적반하장’이라고 반박했다.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인사청문 제도에 대해 (여당이) 언급하는데, 음주운전 단속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고 해서 단속 제도를 재검토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국회 정책조정회의에서 “재보선을 앞두고 인사청문회를 하면 국정 운영의 치부가 드러날까 봐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하윤해 최승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