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차기 당권을 놓고 경쟁하는 서청원(왼쪽 사진)·김무성(오른쪽)의원이 서면으로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논쟁을 벌였다.
새누리당 쇄신전대추진모임은 26일 이번 전대 참여를 선언한 10명의 주자들이 보내온 답변서를 공개했다. 이들은 지난 24일 당·국정 쇄신 방안, 줄 세우기 경선 지양 방안 등을 담은 7개 문항의 질문지를 전달해 모든 후보로부터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친박(친박근혜) 주류를 자임하는 서 의원은 청와대의 중립성 담보 방안을 묻는 질문에 “박근혜 대통령은 전대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며 “기우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서 의원은 김 의원을 겨냥한 주장도 했다. 그는 “집권여당 대표에 대한 국민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사전검증 제도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면서 후보검증위 설치를 거듭 요구했다.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두 차례나 수감된 것이 아킬레스건인 서 의원이 김 의원의 알선수재 처벌 전력 등을 추궁해 맞불을 놓겠다는 의도다. 서 의원은 “공신력 있는 당 기구가 후보 검증을 객관적으로 할 수 있다면 네거티브 캠페인은 설 자리를 잃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청와대를 들먹거리는 후보는 있지도 않은 ‘박심’을 팔겠다는 것인데 부끄러운 일이고 자신감이 없다는 증거”라며 “당직자와 지방자치단체장 등도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당대회는 민심과 함께 가는 당 지도부를 뽑는 선거인데, 민심과 함께 가지 않는 당심이 있을 수 있느냐”며 “민심을 잘 반영하려면 중간에 들어오는 어떤 잡음과 ‘검은손’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상대방이 네거티브를 하더라도 일절 대응하지 않겠다”면서 서 의원 측과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이인제 의원은 “당 선관위 경고가 3회 누적되면 후보에서 물러나는 삼진아웃제를 도입하자”면서 “권역별 토론회와 TV 토론회 횟수를 늘리면 청와대가 끼어들 틈이 줄어들 것”이라고 제안했다. 홍문종 의원은 “거창한 미사여구보다 현행 당헌·당규를 엄격히 시행하면 된다”면서 “당헌·당규를 어길 경우 벌칙과 불이익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우 의원은 전대에 개입한 청와대 관계자와 당직자에 대해 공직 진출 제한을 촉구했다.
쇄신모임은 후보자 초청 토론회도 개최할 방침이다. 쇄신모임은 서 후보가 최근 이 모임 인적 구성의 편향성을 거론한 것과 관련해 “자발적으로 이뤄졌다는 부분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서청원 “朴心 논란은 기우” VS 김무성 “朴心팔기 창피한 일”
입력 2014-06-27 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