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장관 “7월초 한·중 정상회담 중요 공동문서·내용 나올 것”

입력 2014-06-26 03:56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다음달 초로 알려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과 관련, “국빈 방한의 중요성에 맞는 (공동)문서와 내용이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만남에서는 한·중 정상 간 스킨십 외교가 많고 인문 교류와 관련된 많은 사업에도 합의가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윤 장관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중국 국가주석이 취임하고 나면 예외 없이 북한을 먼저 방문했었다”며 “한국을 먼저 방문하는 것이 갖는 전략적 함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북아의 국제질서란 측면에서 보면 중국의 남북한에 대한 정책의 무게중심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흐름을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중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 정부 당국자는 “양 정상 간 6자회담 및 북한 핵 문제에 대해 조율이 있게 되면 북한에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에 대한 메시지가 압박이든 설득이든 지금보다는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의제와 관련해서도 “협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한·중 FTA로 경제 통합이 이뤄지는 쪽으로 된다고 할 경우 북한에 주는 함의가 아주 클 것이다. 대변혁이라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윤 장관은 일본의 ‘고노(河野) 담화’ 검증 보고서 발표에 대해선 “고노 담화가 한·일 외교 당국 간 외교적 타협의 산물이라고 주장해도 문제의 본질은 바꿀 수 없다”면서 “전방위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