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구조된 단원고등학교 2학년생 75명이 25일 사고 후 처음 등굣길에 올랐다.
언젠가는 돌아와야 할 학교이기에 왔다. ‘remember 0416’(4월 16일을 기억하라)이라고 새겨진 노란 팔찌를 손목에 차고 71일 만에 돌아온 학교다.
생존 학생들이 학교 정문에 도착해 교실로 들어가기까지 걸린 시간은 40분 남짓이었다. 그러나 그 짧은 시간에 학생들은 많은 얘기를 했다. 특히 책임을 다하지 못한 국가와 어른들을 향한 학생들의 원망은 오랫동안 여운으로 남았다.
학생들은 오전 8시30분쯤 합숙하고 있던 안산의 중소기업연수원에서 버스 4대에 나눠 타고 교문 앞에 도착했다. 교문에서 학교 건물까지 100m 정도의 언덕길 양편에는 생존 학생 학부모와 희생 학생 학부모들이 나눠 서서 아이들의 등교를 맞았다.
희생 학생들의 부모 60여명은 ‘사랑합니다’ ‘얘들아 살아 돌아와줘서 고맙다’ 등의 글귀가 적힌 작은 팻말을 들고 있었다. 사랑하는 자녀들을 잃은 슬픔을 승화시키는 듯했다.
부모들과 함께 버스에서 내린 학생들은 먼저 교문 앞에 마중 나온 선생님들에게 눈인사로 반가움을 표했다. 몇몇 학생은 ‘안녕하세요’라고 낮고 차분한 목소리로 인사를 했다.
생존 학생들을 대표한 남학생이 호소문을 읽기 시작했다. 학생들은 호소문을 통해 “샤워를 하지도, 잠을 자지도 못할 만큼의 공포에 시달리는 등 저희는 아직도 수많은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며 “사고 이전으로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저희를 그저 18세 평범한 소년 소녀로 대해 달라”고 말했다.
처음에 학생들은 감정을 절제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 역력했다. 절대 울지 않기로 결심한 듯 입을 굳게 다물고 있었다. 하지만 생존 학생 대표가 사회에 전하는 호소문을 낭독하면서 울음바다를 이루고 말았다.
“…왜 우리 친구들이 희생돼야만 했는지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 앞으로 이런 끔찍한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해주시길 바랍니다. 사람이 진짜 죽을 때는 잊힐 때라고….”
A4용지 3장 분량의 호소문을 읽어내려가던 학생은 더 이상 이어가지 못하고 어깨를 들썩였다. 학생들뿐 아니라 교사와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흐느끼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이어 생존 학생들이 희생된 친구들의 부모에게 인사하는 시간을 가졌다. 희생 학생 부모들은 학생들을 껴안고 통곡했다. 하늘을 보며 크게 소리 내어 우는 아버지도 있었다. 생존 학생 학부모들도 함께 울었다.
학부모 대표는 국민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아이들이 학교로 돌아가는 것은 학생으로서 평범한 일상을 되찾기 위한 선택이었다”며 “함께 공부하던 친구가 없고, 선생님도 계시지 않지만 그 몫까지 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희생된 친구들을 애도하는 시간을 가진 다음 자치시간, 환경미화 및 학교생활 준비 등으로 하루 일정을 마무리했다. 경기도교육청과 학교는 특별교실을 고친 새 교실에서 소통과 치유에 중점을 두고 일상적인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방향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생존 학생들은 그동안 안산 중소기업연수원에서 학부모와 합숙하며 심리치료 등을 받아왔다.
안산=정수익 기자 sagu@kmib.co.kr
‘4월 16일을 기억하라’… 눈물바다 된 등굣길
입력 2014-06-26 0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