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 대전(大戰)’을 앞두고 정치권이 뜨거운 공방을 예고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미 두 명의 국무총리 후보자가 낙마한 만큼 야당 공세 차단과 2기 내각 엄호 전략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병기 국정원장,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겨냥해 ‘2명+α’ 낙마를 공언하며 고삐를 더 조이고 있다. 동시다발적 인사 청문회 이후 미니총선급의 7·30재보선이 예정돼 있어 여야 간 힘겨루기는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할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철통 방어 태세다. 박근혜정부 2기 내각 후보군에서 추가 낙마자가 나올 경우 청와대는 물론 여권 전체가 회복 불가능한 정치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인사청문회에서 야당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라 먼저 각을 세우지는 않겠다는 분위기도 읽힌다. 하지만 야당의 공세가 도를 넘으면 정면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2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국정공백을 막고 2기 내각이 안정적으로 출범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그 외에는 생각할 겨를이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검증에 대한 국민의 피로도가 매우 높다”며 “야당이 낙마에 초점을 맞춰 공세에만 치중하면 역풍을 맞을 것”이라고도 했다.
당 일각에선 세 번째 총리 후보자는 비교적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는가 하면, 정반대로 낙관은 금물이란 목소리도 있다. 함진규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야당이 또다시 법 절차를 무시한 채 사실 확인도 부족한 내용을 빌미로 몇몇 인사에 대한 추가 낙마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만일 야당이 계속 여론을 선동해 사회분열을 초래하고, 인사청문회를 망신주기 식으로 악용한다면 반드시 부메랑이 돼 자신들에게 돌아갈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새정치연합은 여권과의 힘겨루기에서 우위에 선 만큼 추가 낙마자를 정조준하는 모양새다. 정부의 인사 난맥상을 집중 부각시켜 7·30재보선까지 주도권을 잡겠다는 구상이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장은 ‘대통령의 사람’이 아니라 중립적 인물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국회가 논문을 표절한 인사를 교육부 장관에 취임하도록 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 “최소한의 기준을 박 대통령이 깰 수는 없다”고도 했다.
유은혜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문창극 전 후보자 사퇴를 국정 정상화와 민심 수습의 기회로 만들 것인지 여부는 전적으로 박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면서 “대통령의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제2, 제3의 문창극이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책임을 물어 민심과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다만 야권 내에선 지나친 공세 모드로 나갈 경우 ‘국정 발목잡기’라는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새누리당 7·14전당대회, 월드컵, 여름 휴가철 등이 맞물려 있어 청문회가 주목을 못 받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청문회 大戰’ 여야 전략… 與, ‘검증 피로도’ 높아 무사 통과 기대-野, ‘2+α’ 낙마 공언
입력 2014-06-26 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