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협약 추진중인 동부제철 앞날은… 제2금융권 제동 걸면 워크아웃 갈 수도

입력 2014-06-26 02:14
동부 패키지(동부제철 인천공장·동부발전당진) 매각 무산으로 동부그룹의 재무 구조조정은 채권단이 주도하게 됐다. 동부그룹이 일단 산업은행의 요구를 수용함에 따라 이르면 다음 주쯤 동부제철에 대한 자율협약이 확정될 예정이다. 하지만 변수가 많아 자율협약이 제대로 진행될지 불확실한 상황이다.

금융권에서는 자구계획을 둘러싼 채권단과 동부그룹 간 갈등이 증폭되거나 구조조정이 부진할 경우 동부제철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갈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가장 큰 변수는 동부제철 회사채 60%를 보유하고 있는 신용보증기금 등 제2금융권의 움직임이다. 자체 회생이 어려운 동부제철 상황으로 볼 때 신보 등이 자율협약에 동의하지 않으면 워크아웃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신보 관계자는 “채권단과 동부제철 간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당장 자율협약 수용 여부를 밝히기는 어렵다”면서 “동부그룹의 향후 구조조정 일정과 계열사 매각, 오너가의 협력 등을 봐가면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부그룹이 채권단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도 관건이다. 채권단은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등 대주주의 사재출연과 경영권 포기 등 적극적인 책임을 요구하고 있으나 김 회장 등은 무한 책임을 질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김 회장의 장남 김남호 동부제철 부장의 동부화재 지분(13.2%)을 담보로 제공하는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맞서 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25일 동부제철의 자율협약에 따른 그룹 위험이 동부화재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윤제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현재 상황에서 신규 출자나 신용공여 등 비금융 계열사에 대한 지원은 금융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해 실현 가능성이 작다”며 “동부화재가 그룹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동부화재의 동부제철 지분(4.99%) 등을 제외하면 금융과 비금융 계열사 간 출자관계가 대부분 해소된 점도 동부화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윤 연구원은 설명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