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현장에서-약값 없어 치료 포기하는 암환자들] 정부 입장은… 환자들 사정 고려 합리적 결정

입력 2014-07-01 02:47
이선영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장은 “심평원에서는 세부 내용을 진행하고,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최종결정을 내리게 된다”며 “해당 전립선암 치료제의 경우 치료비만 1년에 몇 억원이 들어가는데 필요로 하는 환자는 200여명이 안 된다. 결국 비용효과성 부분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신규 의약품의 경우 경제성평가 등을 거치는데 평가과정이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관련 단체, 심평원, 건보공단, 복지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꾸려 산정·조정기준 마련에 업계 등의 요구사항을 참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등재부 관계자는 “자이티가는 현재 제약사에서 추가 자료를 제출 중에 있고, 내부검토를 통해 급평위로 가기 때문에 7월 중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해당 약제의 경우 효과는 인정받았지만 가격이 높다. 위험분담협상제안도 들어왔기 때문에 환자들을 고려해 빨리 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심평원 역시 환자를 위해서는 빨리 해주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약제를 급여 대상으로 인정해 주기는 어렵다. 그러나 절실한 환경의 환자들을 고려해 합리적이고 제대로 된 심사·평가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