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87) 할머니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인정한 1993년 ‘고노(河野) 담화’ 검증 보고서를 발표한 데 대해 “자기 잘못을 광고하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길 할머니는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에서 열린 증언회에서 “말 같지 않은 소리에는 남들이 귀 기울이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말이 되는 말을 해야 남이 듣지, 상대편(일본 정부)의 말이 말 같지 않으면 아무도 상관을 하지 않는다”고 했다. 고령의 길 할머니는 불편한 몸을 이끌고 소르본대에서 프랑스인 청중 앞에 섰다.
감옥에 갇힌 아버지를 빼낼 돈 10원이 필요했던 길 할머니는 13세 때 공장에 취직시켜준다는 사람을 따라 나섰다가 일본군 위안부가 됐다. 그는 “죽음보다 못한 삶일 줄 누가 알았겠나. 너무 아팠다”면서 “열세 살 어린 나이로 견디기 어려워 ‘엄마, 엄마’라고 소리쳤다”고 낮은 목소리로 증언했다. 이어 “광복 후 누군가의 아내가 되고 싶었고, 엄마 소리도 듣고 싶었지만 내겐 아무 의미 없는 이름들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길 할머니는 “이제 여든일곱이 된 나는 부끄럽지 않고 당당하게 외친다. 일본 정부는 사죄하고 배상하라”고 강조했다. 강연 마지막에 “20년 동안 나 혼자 싸웠지만 (일본 정부는) 들은척도 안 하니까 여러분이 좀 도와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두 시간가량 진행된 증언회에는 50여명의 교수와 학생, 파리시민들이 참석했다. 일부는 눈시울을 붉혔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25일 파리 에펠탑 부근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시위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
“日 말 같지 않은 소리 아무도 상관 안 해 자기 잘못 광고하는 격”
입력 2014-06-25 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