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대학 진학을 목적으로 학원처럼 운영되는 미인가 국제교육 대안교육시설에 대해 교육 당국이 정밀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이들 시설은 학력인정이 되지 않음에도 대부분 학습자의 연간 부담금이 1000만원을 넘는 고액시설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부는 4월 1일 기준 전국의 170개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현황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미인가 대안교육시설은 정식으로 인가를 받지 못해 학력 인정이 되지 않는 곳을 가리킨다. 10곳 중 6곳(58.2%) 정도는 좁은 공간을 임대해 운영하는 등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종류별로는 부적응 학생 교육을 위한 시설이 83개(48.8%)로 가장 많았고 일반 대안교육 32개(18.8%), 종교·선교 27개(15.9%), 국제교육 6개(3.5%) 등 순이었다.
입학금과 수업료·기숙사비·급식비 등을 더한 학습자들의 부담금은 연평균 620만7000원으로 서울 지역의 일반고(175만원)나 자사고(600만원)보다 비쌌다. 학습자의 부담금이 전혀 없는 곳이 52개(26.1%) 있었지만 부담금이 1000만원 이상인 곳도 54개(27.1%)나 됐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
미인가 국제 대안교육시설 실태조사… 학비 연 1000만원 이상 학원처럼 운영
입력 2014-06-24 03:59 수정 2014-06-24 0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