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의 마지막 단계인 우리은행 매각이 내년 상반기 종료를 목표로 진행된다. 경영권 지분(30%) 매각과 소수 지분(26.97%) 매각이 따로 실시되는 ‘투 트랙’ 방식이다. 투자유인책으로 소수 지분 낙찰자에게는 주당 0.5주의 콜옵션(미리 정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이 부여된다. 이처럼 새로운 방식이 도입됐지만 경영권 인수를 희망하는 투자자가 많지 않아 정부 뜻대로 완전한 민영화가 이뤄질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3일 제96차 회의에서 우리은행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심의·의결했다. 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56.97% 중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30%는 일반경쟁 입찰로 통째로 팔고, 나머지 26.97%는 투자차익을 원하는 재무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0.5∼10%씩 쪼개서 판다는 내용이다. 소수 지분 매각은 높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 순으로 희망 물량이 배분되는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되며, 흥행을 위해 콜옵션이 부여된다.
정부는 오는 9월 매각 공고를 내고 11월 말 입찰을 마감한 뒤 소수 지분 매각은 연내 낙찰자를 선정하고, 경영권 지분 매각은 내년 초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을 파는 것은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한빛·평화·광주·경남은행과 하나로종합금융을 자회사로 둔 우리금융지주를 2001년 출범시킨 뒤 3차례(2010·2011·2012년)나 민영화를 추진했으나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모두 실패했다. 다만 공모와 4차례의 블록세일 등으로 일부 지분을 매각해 공적자금 12조8000억원 중 5조8000억원이 회수된 상태다. 경남·광주은행과 우리투자증권 등 6개 증권계열 자회사의 민영화는 이미 완료돼 현재 우리은행과 우리카드 등 6개 계열사만 남아 있다.
공자위는 이번에 콜옵션이라는 당근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하지만 콜옵션으로 재무적 투자자를 상대로 한 소수 지분 매각은 성공하더라도 경영권 지분 매각이 이뤄지지 않으면 온전한 민영화는 또 무산된다.
지방은행과 증권계열 자회사가 대거 매각돼 우리은행의 몸집은 전보다 가벼워졌다. 지분 30%의 시가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해 3조원 정도면 인수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경영권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곳은 교보생명뿐이다. 교보생명은 보험업법상 동원 가능한 금액이 제한돼 있어 재무적 투자자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경영권 입찰에 나설 방침이다. 교보생명이 자력으로 댈 수 있는 금액은 1조3000억원대로 알려졌다.
교보생명 외 추가 입찰자가 나오지 않으면 경영권 지분 매각은 유찰된다. 공자위는 이번에 지주사가 아닌 은행 형태로 매각함으로써 잠재투자자의 범위를 넓혔지만, 최근 은행업 업황이 악화돼 투자 매력이 떨어진 점이 문제다.
유효경쟁 가능성에 대해 박상용 공자위원장은 “지금으로선 장담할 수 없다”며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유찰될 경우 또다시 경영권 지분 매각을 시도할지, 30% 지분을 쪼개서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하게 될지는 그때 시장수요를 봐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개인이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회사(교보생명 등)의 은행 인수를 막아야 한다는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며 “법 규정 내에서 가능한 투자자들의 입찰 참여는 막을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콜옵션(Call Option)
주식 등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 현재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높으면 권리를 행사해 차익을 챙길 수 있다. 현재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낮을 경우 권리행사를 포기하면 된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우리銀 투트랙 매각키로… 민영화 4修 이번엔 성공할까
입력 2014-06-24 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