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P 총기 난사] 여야 軍에는 큰소리, 국방장관 청문회 지연엔 잠잠

입력 2014-06-24 03:35
정치권이 강원도 고성군 동부전선 최전방 일반소초(GOP)에서 발생한 무장 탈영병의 총기난사 사건을 놓고 군을 강하게 질타했다.

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의장은 23일 국회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관심병사에 대한 부실 관리도 문제지만 사건 발생 후 보고와 민간인 보호 조치에도 문제점이 많다"며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현주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총기난사 직후 무장 탈영한 임모 병장의 생포까지 40시간 넘게 걸렸다"면서 "도주로 차단에 실패하고 오인사격까지 한 군의 허술한 대응에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조해진 의원은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세월호 참사 등 올해 잇따라 벌어진 사고들을 거론하며 "우리 공동체가 사고 공화국이 아닌가 싶다"고 힐난했다. 조 의원은 이어 "어디에서 어떻게 사고가 발생해 누가 피해자가 될지 예측할 수 없는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고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번 사건이 박근혜 대통령의 인사 실패로 인한 국정 공백에서 비롯됐음을 부각시키는 데 주력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을 지키는 군이 국민의 걱정거리가 됐다"면서 "국방장관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계신지 묻는다"고 꼬집었다. 유기홍 수석대변인도 국회 브리핑에서 "2012년 '노크 귀순사건'이 일어났던 부대에서 또다시 사고가 발생했다"면서 "당시 장관이던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겸 국방부 장관은 그동안 무얼 한 것이냐"고 따졌다.

한목소리로 여야가 군을 비판하고 나섰지만, 정작 국회는 한민구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19일째 열지 못하고 있다. 여야 이견 탓에 후반기 원 구성이 지연되면서 청문회를 맡아야 할 국방위원회 구성도 덩달아 늦어졌기 때문이다.

한 후보자의 인사청문 요청서는 지난 5일 국회에 제출된 상태지만 여전히 청문회 일정은 불투명하다. 인사청문회법은 요청서가 제출된 날부터 20일 이내에 심사 또는 인사청문을 마치되 부득이한 경우 10일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권지혜 임성수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