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혼탁한 새누리당 대표 경선 度 넘었다

입력 2014-06-24 02:42
새누리당의 당 대표 경선이 목불인견의 이전투구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모든 선거가 으레 과열되기 마련이지만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서청원·김무성 의원의 경쟁은 도를 넘어섰다. 같은 당 소속이라 하기가 민망할 정도다. 7·14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새 지도부가 임기 2년을 다 채울 경우 2016년 4월 실시되는 20대 총선 공천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양측이 죽기 살기로 나선 결과다.

두 의원은 당원들에게 변화와 개혁을 약속하고 출마했다. 저마다 새누리당을 변화시킬 적임자를 자처했다. 하지만 두 진영이 지난 2주간 보여준 행태는 그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단체식사 등 세몰이와 공천권을 앞세운 줄세우기 같은 구태가 기승을 부렸고, 상대방의 약점을 파고드는 네거티브 캠페인 속에 정책대결은 설자리를 잃었다. 양측의 줄세우기와 세몰이에 얼마나 신물이 났으면 초·재선 의원 21명이 23일 ‘쇄신전대추진모임’까지 결성하고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을까.

서 의원 측의 여론조사 조작 의혹은 유야무야 덮을 문제가 아니다.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하거나 조작했다면 명백한 불법행위다. 정당법 49조 1항은 ‘당 대표 경선 등에서 선거운동을 방해하거나 위계·사술 그밖에 부정한 방법으로 당 대표 경선 등의 자유를 방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당 대표 적합도 조사에서 김 의원이 서 의원에 앞선 것으로 나왔는데 결과가 뒤바뀌어 언론에 보도됐다면 예삿일이 아니다. 문제의 자료가 서 의원 측에서 제공된 게 분명한데도 모르쇠로 일관하는 서 의원 측 태도는 납득하기 어렵다.

더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당 지도부다. 도무지 진상을 파헤칠 의지가 없다. 지도부가 엄격하고 공정하게 경선을 관리하지 못할 경우 경쟁의 생명인 공정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 당이 진실을 밝힐 능력이 없다고 판단되면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하는 게 마땅하다. 불법의 싹을 잘라야 전당대회를 원만히 치를 수 있고 뒷말도 나오지 않는다.

새누리당 지지율 떨어지는 소리가 곳곳에서 들리고 있다. 지난주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은 39.1%, 새정치민주연합은 35.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전주 대비 0.2% 포인트 오른 반면 새누리당은 4.5% 포인트 급락했다. 6·4지방선거 결과에 만족해 달라지라는 국민의 바람을 외면하고 현실에 안주한 새누리당의 자업자득이다.

지금의 국정운영은 분명 정상이 아니다. 청와대가 중심을 못 잡으면 여당이 그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당권에 정신이 팔린 새누리당에선 그런 여당의 모습을 볼 수 없다. 진정으로 바뀌지 않으면 지지율은 금세 역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