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총회장 김동엽 목사)은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20일까지 대구와 전남 순천, 서울과 대전에서 ‘부총회장 선거제도 및 총회 회의제도 개선을 위한 전국 공청회’를 열고 교단 장기발전연구위원회가 제안한 ‘노회원 직선제’의 의견을 수렴했다.
노회원 직선제는 전국 65개 노회 소속 회원 2만2000여명 전원이 직접 투표해 부총회장을 뽑자는 제도다. 현재는 총대 1500여명만이 투표할 수 있다.
개선안에 따르면 노회 선거관리위원회 주관으로 노회원들이 총회 개회 4일 전 전국의 노회 사무실에서 무기명 비밀투표 후 봉인한 투표함을 이튿날 총회로 이송한다. 총회 선거관리위원회는 개표작업을 통해 다득표자를 당선자로 선출하고, 정기총회 개회와 동시에 총회장이 당선을 공포하는 방식이다.
공청회에 참석한 총대들과 노회 관계자들 사이에는 찬반 의견이 엇갈렸다. 찬성 측은 투표에 참여하는 인원이 많아지면 자연스레 금품을 나눠주기 어려워지면서 금권선거를 막을 수 있고, 당선자는 더욱 대표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남노회장 황규범 장로는 “총대들만 투표를 한다는 것은 장로교 근본정신인 민주적 절차의 방법에서 벗어난 것”이라며 “더 많은 의견 수렴을 위해 노회원 전원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직선제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평한 직선제를 하려면 노회원의 목사와 장로 수를 총회와 같이 동수로 조정해야 하고 나아가 차후에 세례교인으로까지 선거권을 확대하자는 의견들도 제기됐다.
반대 측은 직선제를 할 경우 선거 브로커들의 활동이 더 활발해져 오히려 금권선거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전국 노회원에게 보내야 할 선거 홍보물과 이를 관리할 인적자원이 이전에 비해 배로 증가하고, 특히 투표함 관리 과정에서 공정성 투명성 보관 이송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기존의 선거제도를 유지하되 금권·불법선거를 저지른 후보자에 대한 자격 박탈과 면직 등 선거관리위원회의 권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와 함께 부정선거를 차단하기 위해 선거관리위원을 현 15인에서 노회별로 1인을 선출해 65명으로 늘려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예장통합 관계자는 “오는 9월 제99회 정기총회에서 개선안이 결의될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교단 내 불법·금권선거 근절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
예장통합 부총회장 선거… 직선제 찬반 의견 엇갈려
입력 2014-06-24 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