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광역단체장에 듣는다-김기현 울산시장] “동북아 오일허브 성공기반 구축에 역량 집중”

입력 2014-06-24 03:59
김기현 울산시장 당선자가 23일 당선자 사무실에서 울산 시정에 대한 포부를 밝히고 있다. 김 당선자는 “신성장동력 발굴을 통해 울산의 일자리와 먹거리를 해결하는 기초를 놓겠다”고 밝혔다.

김기현(55·새누리당) 울산시장 당선자는 23일 울산 남구 농업인회관 내 당선자 사무실에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변방’ 울산의 위상을 높여 중앙무대에 올려놓겠다”고 당찬 포부를 밝혔다. 김 당선자는 “창조경제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발굴해야 차세대 일자리와 먹거리가 해결될 수 있는데 ‘김기현이 그 기초를 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싶다”고 말했다.

-울산시장 선거 역대 최고인 65.4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배경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한마디로 변화에 대한 기대와 신뢰라고 생각한다. 울산은 산업화 50년을 넘기면서 활력이 줄어들고 있다. 수치상으로는 괜찮게 보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주력산업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신성장산업은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울산이 생산중심도시에서 생활중심도시로 이미지 변신을 시도해야 하는 중요한 전환점에 있다. 과거처럼 따라잡기 모델이 아니라 창조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야 할 때다. 정쟁이 아니라 정책으로 국회활동을 해왔던 제가 시민의 뜻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다고 믿어주신 것 같다.”

-현재 울산이 맞닥뜨린 과제는 뭔가.

“미래 먹거리 창출과 문화·교육·복지·체육 등 삶의 질 향상이다. 울산은 지난 50년간 산업화라는 하나의 레일 위를 달려왔다. 이 기간 도시의 발전 패러다임은 효율과 생산성이었다. 이제 그런 과거의 패러다임은 수명을 다했다.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창조의 패러다임 위에서 산업과 환경, 문화와 복지, 교육과 체육 등 시정 전반을 진단하고 조정하고 혁신해 나갈 생각이다.”

-울산시정의 최우선 과제는.

“시정 과제에 우열과 경중이 없지만 행정 측면에서는 조직진단과 개편, 실력과 능력 중심의 인사시스템 구축이다. 정책 차원에서는 동북아 오일허브의 가속화라 생각한다. 행정혁신은 시정의 역동성과 개방성, 공정성이라는 세 가지 원리 위에서 추진하겠다. 울산의 미래 먹거리가 달려있는 대표적 신성장동력이면서 국가 명운이 걸린 동북아 오일허브의 성공기반 구축을 위해 석유거래 기반과 금융 등 소프트웨어를 강화하는 데 시정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앞으로 4년간 시장직을 수행하면서 꼭 챙기고 싶은 사업이 있다면.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산업수도 울산은 변곡점에 서 있다. 지금까지의 역량을 토대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느냐, 아니면 미국 디트로이트나 피츠버그처럼 세계적 도시였다가 쇠락의 길로 접어드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 산업수도 울산이 가야할 방향은 잡혀 있다. 신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주력산업의 고도화와 신성장동력 발굴 육성이다. 주력산업의 융·복합 프로젝트는 어느 정도 가시적인 단계에 진입하고 있지만, 문제는 신성장동력이다. 동북아 오일허브, 2차 전지산업, 바이오 화학, 그린 자동차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면서 그래핀, 그린에너지, 소재산업, 수소산업 등 새로운 블루오션을 개척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문수축구경기장 유스호스텔 건립, 전시컨벤션센터 추진 등 박맹우 전 시장이 추진한 사업은 어떻게 할 건가.

“누구든 일을 하다보면 공과가 있기 마련이다. 전임 시장이 추진한 일에도 공과가 공존한다고 생각한다. 사업 전반을 진단해 환경이 달라졌거나 추진과정에 새로운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과감하게 개선해 나갈 것이다. 다만, 차별화를 위한 차별화가 아니라 사업의 목적과 필요성, 기대효과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사업의 추진과 재검토 여부를 결정할 생각이다.”

-공직 기강확립 차원에서 ‘관피아 척결’을 언급했는데 구체적인 인사 개혁의 방안에 대해 설명해 달라.

“관피아는 청산해야 할 낡은 관행이지만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과제다. 공무원 출신이라고 무조건 배제해서도 안 되겠지만, 특혜를 받아서도 안 된다. 무사안일주의로 치우친 적폐는 청산하겠다. 울산에 관피아 관행이 있다면 우선 제도적 측면에서 신중하게 접근하고 시행은 과감하게 해나갈 것이다. 공직사회의 역동성은 개인의 동기부여와 조직 전체에 대한 동기부여가 생명이다. 조직은 동기부여의 계기로 삼고 인사는 철저하게 일 잘하는 사람이 더 잘할 수 있게 하는 패턴을 정립시키겠다.”

울산=글·사진 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