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갈등에 몸살 앓는 한기총·한교연 통합 논의 물거품 되나

입력 2014-06-24 03:12 수정 2014-06-24 15:27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이 최근 내부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기총은 이단 시비 등으로 대외 행사를 취소했으며 한교연은 대표의 도덕성 문제로 내부 갈등이 증폭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기총은 25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10만명이 참가하는 ‘대통령과 국가를 위한 6·25 국민대회’를 열 예정이었지만 최근 취소했다. 한기총은 지난 4일 보도자료를 통해 6·25 국민대회 준비위원회를 조직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홍재철 대표회장은 “역사상 전무후무한 기도회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야심 차게 행사를 홍보하던 한기총은 스스로 이를 접었다. 한기총 관계자는 “아직까지 서울시청 앞에 세월호 합동분향소가 마련돼 있는 등 추모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어 대규모 집회를 열 상황이 아니라고 봤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복수의 교계 인사는 23일 “대외 여건이라기보다는 한기총이 교단 분열과 이단 논쟁으로 인해 인원 동원에 한계를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한기총은 서울시청 앞 집회를 취소한 대신 서울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 6·25 관련 기도회를 추진했으나 이마저도 성사되지 않았다. 100주년기념관을 관리하는 예장통합 측 관계자는 “기도회 순서 중에 이단 소속 관계자가 설교를 하는 것으로 나와 대관을 불허했다”고 답했다.

2012년 한기총에서 탈퇴한 일부 교단들이 결성한 한교연도 한영훈 대표회장의 실정법 위반 문제로 삐걱대고 있다.

대법원은 지난 12일 한 회장이 학교운영비를 재단의 소송비용으로 사용한 혐의(업무상 횡령)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한교연은 법원 판결에 따른 대표회장 해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정관에 없어 회장을 교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한교연 내 최대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예장통합) 측이 강력 반발하고 나서 파장이 예상된다. 예장통합은 지난 18일 연합사업위원회를 긴급 소집, 한 회장이 스스로 사퇴하고 민형사상 유죄가 확정될 경우 임원을 맡을 수 없거나 사퇴하도록 한교연 정관을 개정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사업위는 오는 30일 총회임원회에 이를 보고하고 임원회가 한교연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예장통합 관계자는 “임원회가 한 회장 문제에 대해 입장이 강경하기 때문에 연합사업위의 건의사항을 뒤집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교계 관계자는 “한기총과 한교연의 내부 갈등이 불거지면서 교계의 바람인 양 기관 통합 움직임이 힘을 잃을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