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화 후 처음 치러진 서울대 총장 선거를 두고 학내 잡음이 심상치 않다. 성낙인(64)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총장 후보로 최종 선출되자 서울대 교수협의회 의장이 반발해 사퇴하고 비판 성명도 이어지고 있다. 급기야 정치권 개입설도 불거졌다.
서울대 교수 등 교직원 대표 50명으로 구성된 심의·의결기구인 평의원회는 23일 “이사회가 법의 이름으로 학내 상식을 무시했다”는 성명을 내고 강한 유감을 표시할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이에 앞서 서울대 교수협의회는 지난 20일 성명을 내고 “총추위가 3개월여간 수차례 평가해 우열을 가렸지만 이사회가 단 한 번의 투표로 뒤집었다”며 “후순위 후보자였던 성 교수를 총장으로 선출한 절차와 근거를 명백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이정재 교수협의회 의장은 이사회 결정에 반발해 결과 발표 직후 의장직을 사퇴했다.
학내 의사와는 무관하게 외부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도 나온다. 한 서울대 교수는 “학교 구성원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총장을 뽑는 게 순리”라며 “구성원 의견을 아무런 해명도 없이 이사회가 뒤집었다면 차기 총장은 결국 이사회 눈치를 볼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교수도 “가장 기본적인 선거 규칙도 제대로 정하지 못하는 등 도무지 투명하지가 않았다. 완전히 밀실 선거”라며 “학교 자체에 결정 권한이 없으니 결국 교육부나 청와대가 물밑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여지도 있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간선제 총장 선거는 시작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총장 후보를 압축하는 단계마다 새로운 ‘룰’이 발표되는 등 ‘졸속선거’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서울대의 한 관계자는 “3단계 후보 압축과정에서 세 후보의 득표율 차이가 근소했는데 이사회 투표에서는 후순위 후보자였던 성 교수 한 사람에게 압도적인 지지가 나왔다”며 “투표 당일 이사회 내에서 (성 교수를 지지하도록) 분위기를 몰아가는 사람이 있었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 이사회는 지난 19일 성 교수를 제26대 총장 최종 후보자로 선출했다. 성 교수는 서울대 이사 15명 중 8명의 지지를 얻어 과반 득표했다. 서울대 총장이 간선제로 선출되기는 처음이다. 성 교수는 앞서 치러진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 평가에서 1위 오세정 후보에 이어 강태진 후보와 공동 2위였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심상찮은 서울대 총장 선거 후폭풍
입력 2014-06-23 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