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反부패 사정칼날 후진타오 측근까지 겨냥

입력 2014-06-21 02:58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주도로 새로 설립된 중국의 안보총괄기구인 국가안전위원회(주석 시진핑)가 중국 내 비정부기구(NGO)의 활동에 대한 전면 조사에 나섰다. 이들 단체에 중국 정부기관 등이 민감한 정보를 흘리고 있는지 등을 파헤치겠다는 것이다.

중국공산당 최고 사정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는 산시성 고위층의 모임인 ‘산시방(山西幇)’의 비리를 캐는 과정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의 오른팔이었던 링지화(令計劃·사진) 중앙통일전선공작부 부장의 친형 링정처(令政策) 산시성 정협 부주석을 부패 혐의로 조사 중이다. 이를 놓고 사정 칼날이 링지화를 향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런 움직임은 그동안 지속돼온 ‘반(反)부패 드라이브’에다 앞으로 이념적인 해이 현상에 대해서도 고삐를 바짝 죄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산시성 윈청(運城)시는 최근 관할지역에 보낸 통지문에서 “국가안전위 지시에 따라 7월 말까지 중국 내 외국 NGO 등의 활동에 대해 전국적으로 전면적이고 철저한 조사가 진행된다”고 밝혔다고 홍콩 성도일보(星島日報)가 20일 보도했다.

통지문은 “지방을 위주로, 사각지대 없이, 협동 작업의 원칙에 따라 각 지방 정부가 외국 사회단체와 재단, 각종 협회와 학회, 상공회, 연구소 등이 현지에서 벌이는 활동에 대해 조사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 산하 학술연구기관인 중국사회과학원에서도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외국 NGO 등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중앙기율위 관계자는 최근 사회과학원에 외부 세력이 침투하고 있다고 비판한 적이 있다.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도 “사회과학원의 ‘극단적인 개별 학자’가 국가와 민족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외부 세력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이런 사람들을 학술계에서 몽땅 쓸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에서는 외국 언론에 민감한 사안을 밝힌 외교관 등을 간첩죄로 처형한 전례가 있다.

홍콩 명보(明報)는 이날 링정처가 두산쉐(杜善學) 산시성 부성장과 함께 ‘엄중한 기율 위반’ 혐의로 조사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산시성의 여성 기업인 후신은 링정처, 두산쉐 등과 어울린 뒤 탄광업 등을 통해 부를 축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과정에서 후신은 산시성 고관들에게 ‘공공의 정부(情婦)’였다는 것이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