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국면 전환 노리며 새 진용 짠 朴정부 2기 체제 ‘플러스’는커녕 ‘마이너스’ 효과

입력 2014-06-21 02:10
세월호 참사 이후 국면 전환을 노리며 새 진용을 짰던 박근혜정부 2기 체제가 ‘플러스’는커녕 ‘마이너스 효과’만 내고 있다.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친일 역사관 논란을 필두로 주요 장관 후보자들도 여론의 화살만 받으며 위기를 자초하는 형국이다.

◇여당 내 ‘반靑, 반朴’ 기류 번져=6·4지방선거에서 여당이 막판 ‘박근혜 마케팅’으로 체면치례를 하면서 박근혜정부 2기 내각은 순항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문 후보자의 역사인식 문제가 불거지면서 인사검증 등 청와대 시스템에 대한 반발이 확산되고, 여당 안에서조차 ‘반청와대·반박(반박근혜)’ 기류가 고개를 드는 분위기다. 당장 7·14 새누리당 전당대회에 나선 당권주자 대부분이 당·청 관계 재정립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친박(친박근혜) 좌장인 서청원 의원은 맨 먼저 ‘문 후보자 불가론’에 불을 지폈고, 연일 강경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비주류 표를 겨냥한 것이다. ‘비박’ 유력주자인 김무성 의원 역시 ‘반(反)문창극’ 대열에 동참했을 뿐 아니라 “청와대에 대해 제 목소리를 내겠다”는 각오를 피력했다.

당 지도부는 문 후보자 말고도 다른 장관 후보자들까지 야당의 집중 포화를 맞자 곤혹스러운 모습이 역력하다. 한 핵심 당직자는 “7·30재보선을 위해서도 상황이 빨리 해결돼야 하는데 갈수록 악화되는 것 같아 걱정”이라고 전했다.

◇국민 여론도 ‘마이너스’=부정적인 국민여론도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이 지난 17∼19일 전국 성인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 응답률 16%)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적 평가(48%)가 취임 이후 처음으로 긍정적 평가(43%)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주 같은 조사와 비교하면 부정적 평가는 5% 포인트 높아졌고 긍정적 평가는 4% 포인트 하락했다. 부정적 평가를 한 응답자 39%가 ‘인사 문제’라고 이유로 꼽았다. 갤럽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직무에 대한 긍정·부정 평가비율이 역전된 이유는 문 후보를 둘러싼 인사 문제”라고 분석했다.

‘부정 여론’은 문 후보자 문제를 빨리 해결하지 않고서는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0일 “문 후보자와 관련해 국민들이 아주 민감하게 여기는 일본에 관한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에 시간을 끌면 끌수록 여권에 손해”라고 지적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