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원자력 협정 개정협상을 연내 타결짓는다는 목표를 정하고 구체적인 문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19일(현지시간) 워싱턴특파원 간담회에서 “양국은 연내 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소규모 집중협의를 통해 남은 쟁점을 풀어나갈 것”이라며 “현재 협정본문과 합의의사록 초안을 작성 중”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나중에 문안이 공개되면 미국이 베트남 등 여러 나라들과 체결한 협정문안과는 다른 내용이 담겨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원자력 산업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이나 규모를 감안할 때 과거보다 격상된 양국의 전략적 협력 방안이 협정문안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1973년 체결된 협정이 미국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방식이었다면 이번에는 상당히 새로운 문안을 작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논란이 된 농축·재처리 허용과 관련해선 “전략적이고 포괄적이며 진전된 방식이 협정문안에 반영되도록 협상하고 있다”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그는 “협상과정에서 양국은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하는 원자력의 사용후 핵연료 문제, 연료의 안정적 공급, 원전수출 관련 협력 등에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의견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며 “협정 만기는 2016년 3월이지만 미국 중간선거와 원 구성 등 향후 절차를 고려할 때 새 협정이 미 의회를 통과하려면 올해 안에 협상이 마무리돼야 한다”고 했다.
박노벽 외교부 원자력 협력대사와 토머스 컨트리맨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는 17∼18일 워싱턴에서 제10차 협상을 벌였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核폐기물 재처리 풀리나… 한·미 “원자력 개정협상 2014년내 마무리”
입력 2014-06-21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