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8월말 방북說

입력 2014-06-21 02:33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북한 방문을 추진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과 일본이 일본인 납북자 재조사와 일본의 대북 독자제재 해제에 합의한 데 이어 그 이행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방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사히신문은 20일 아베 총리가 오는 8월 25∼31일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 방문 계획을 연기했다면서 이유로 방북을 거론했다. 신문은 “연기 이유는 극비로 돼 있다”면서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개각 혹은 방북이다. 그런데 시점 때문에 방북 준비 움직임으로밖에 볼 수 없다”며 ‘방북설’에 무게를 실었다.

양국 간 합의 진행 과정은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한 초기 단계다. 하지만 이미 조사를 거의 마친 북한이 손에 쥔 정보를 조금씩 풀면서 협상에 임하고 있을 거라는 관측도 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지난 18일 “조만간 북·일 협의를 열고 납치문제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직, 구성, 책임자에 관한 설명을 듣고 필요한 협의를 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아베 총리의 방북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 상황이다.

그러나 아베 총리가 공언한 ‘납북자 문제의 완전 해결’은 결코 쉬운 과제가 아니어서 정치적 도박에 가깝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양국 간에는 2008년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총리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납북자 문제 해결 원칙에 합의했으나 이행하지 못했던 전례가 있다. 때문에 일본 정계에서는 “북한과의 외교가 간단하지 않다. 두 번 속으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우려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정부 내에서 ‘정치가의 귀에는 (우려가) 전해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며 아베 총리에 대한 비난 여론을 전했다. 또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지난 11일 “최근 나오는 아베 총리의 방북에 관한 뉴스는 매우 충격적”이라며 “미국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사전 통보(notice)가 아니라 사전 상담(consultation)”이라고 한 지적도 덧붙였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