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펀드에 수억 굴리면서 세금은 안내… 경기도, 고액체납자 595명 적발

입력 2014-06-20 03:03
주식과 펀드에 수억원을 투자하는 등 재테크에 몰두하면서도 세금을 내지 않은 고액체납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경기도는 지방자치단체 처음으로 지난 한 달 동안 1000만원 이상 체납자 3만1281명에 대한 금융재테크 자산 조사를 벌여 595명이 소유한 주식과 펀드, 채권 등 금융자산 1179건을 확인, 207억원을 압류 조치했다고 19일 밝혔다.

도는 자산 가치가 평가되지 않은 비상장 주식 5100만주도 압류했다. 이 주식은 추후 자산관리공사와 협의해 별도의 공매절차를 거쳐 체납 처분된다. 이번 조사는 고액체납자들이 부동산 및 사업체 투자보다 상대적으로 노출이 적은 주식·펀드 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을 파악해 이뤄졌다.

적발된 체납자들의 금융재테크 상품은 펀드 39건, 주식 554건, 유동성 채권 등 43건, 회사채 11건, 국·공채와 선물옵션 10건, 예수금 224건, 비상장주식 298건 등이다.

업체를 운영했던 A씨는 1억3800만원을 체납하고도 28억800만원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 1500만원을 체납한 모 회계법인 임원 B씨는 주식 관련 예수금 4억3000만원이 적발됐고, 3억7000만원 체납자인 전 벤처기업 관련 기관 회장 C씨는 CMA 등 4700만원이 적발됐다.

노찬호 경기도 세원관리과장은 “고액체납자들의 금융재테크 자산을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금융재테크라는 방법으로 자산을 운영하고도 세금을 내지 않는 체납자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의정부=정수익 기자 sag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