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상은 의원을 둘러싼 의혹들이 점점 커지고 있다. 불법 정치자금 또는 뇌물 수수 의혹에서부터 비서의 임금 착취 의혹까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더욱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해운업계 비리와 연관돼 있을 것이라는 의심도 받고 있다.
‘수상한 돈가방’ 사건의 전말은 지금도 불분명하다. 박 의원은 지난 11일 2000만원이 든 가방을 도난당했다고 신고했으나 그 다음날 박 의원의 수행비서이자 운전기사가 불법 정치자금의 증거라며 검찰에 돈가방을 넘겼다. 가방을 열어보니 2000만원이 아니라 3000만원의 현금이 들어 있었다. 때문에 “변호사 비용으로, 일부는 은행에서 인출했고 일부는 출판기념회 때 모금한 것”이라는 박 의원 해명은 거짓이며 ‘검은돈’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상태다. 6·4지방선거 때 받은 ‘공천헌금’일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게다가 검찰이 박 의원의 아들 집을 압수수색한 결과 수억원대의 현금이 발견됐다. 검찰은 박 의원이 기업들로부터 고문료 명목으로 매월 수백만원씩 받았으며,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한국학술연구원을 통해 상당한 액수의 기부금을 받은 뒤 다른 용도로 쓰려고 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보좌진 월급과 관련한 추문에도 휩싸였다. 한 해운업체에 자신의 경제특별보좌관 월급을 지급하도록 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을 뿐 아니라 비서 월급의 일정 부분을 후원금 명목으로 착취했다는 주장도 제기된 것이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박 의원은 일찌감치 검찰 수사선상에 올랐다. 대한민국해양연맹 부총재, 바다와경제국회포럼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박 의원이 해운업계와 ‘검은 거래’를 했을 개연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박 의원은 선주협회 지원을 받아 여야 국회의원들과 해외로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박 의원은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박 의원의 일거수일투족을 잘 알고 있는 비서 등 주변 사람들의 제보와 폭로가 이어지고 있어 검찰 소환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검찰은 현재 4∼5개 기업과 한국학술연구원을 압수수색한 결과를 분석 중이다. 수행비서가 검찰에 넘긴 돈다발의 띠지에 은행 이름이 적혀 있어 3000만원의 출처가 조만간 확인될 것이라고 한다.
검찰은 엄정하게 수사해야 한다. 여당 의원이라고 머뭇거리지 말고, 세월호 적폐를 도려낸다는 비장한 각오로 임해야 할 것이다. 세월호 사고가 일어난 데에는 정치권 책임도 크다. 이런저런 이유를 들이대며 해운 안전에 대한 규제를 느슨하게 만든 곳이 국회이기 때문이다. 검찰은 박 의원 외에 위법 행위를 저지른 정치인들이 또 있는 건 아닌지 면밀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사설] 수상한 돈가방에 이어 억대 현금은 또 뭔가
입력 2014-06-19 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