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시 외동에 있는 5층짜리 아담한 건물.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의 자립을 위한 김해지역자활센터 건물이다. 보통 자활센터는 임대료 문제 때문에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거나 건물 일부에 세 들어 있는 경우가 많다. 자립 의지가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등이 자활 도움을 받으려면 외곽으로 찾아나서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접근성이 떨어지다 보니 몸이 약한 수급자, 아이나 노인을 돌봐야 하는 경우엔 자활 방법을 알아보려는 시도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불편은 김해시와 경남도가 나서면서 해결됐다. 김해시와 경남도는 각각 16억원과 1억원을 지원해 외동 번화가 근처에 지역자활센터를 세웠다. 2008년부터 준비가 시작돼 약 6년이 걸렸지만 지난 2월 돌봄지원센터, 청소방역사업단, 전산교육장과 영농사업단을 위한 텃밭까지 갖춘 지역자활센터가 완공됐다. 김해시청은 자활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카페를 무상으로 임대해주기도 했다.
김해지역자활센터는 보건복지부가 17일 선정한 25개 최우수 지역자활센터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 김해센터의 지원을 받아 창업한 재활용 매장 등 4곳은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았다. 김해센터의 성공 비결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에 있었다. 취약계층 주민이 자립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임대료처럼 자활센터가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벅찬 문제를 함께 헤쳐나간 것이 주효했다.
경북영천지역자활센터는 복지와 일자리를 결합한 자활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고령화가 많이 진행된 지방 소도시의 특성을 감안해 복지 서비스 제공 사업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결식아동 도시락 배달, 독거노인·장애인 세탁지원사업 등으로 일자리 창출과 복지 서비스 수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자체와 협력이 잘 되면 자활사업이 힘을 얻고 활발하게 이뤄지는 게 곳곳에서 확인됐다”며 “자활사업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돼 지역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첨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우수 기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김해·영천 지역자활센터 성공 비결은… 지자체와 협력에 달렸다
입력 2014-06-18 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