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의 급진 수니파 무장단체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가 수도 바그다드 턱밑까지 파죽지세로 진격하자 이라크 정부의 공습 지원 요청을 거부했던 미국이 군사 개입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타국에 대한 군사 개입을 가급적 줄이겠다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공언'이 보름 만에 수정된 것이다. "전략이 없다"는 비난이 쏟아지는 가운데 그의 '신(新) 외교독트린'이 시험대에 올랐다.
◇오바마 외교 또 곤혹=오바마 대통령이 비판을 감수해가며 이라크 군사 개입으로 방향을 튼 데는 상황이 그만큼 심각하기 때문이다. 며칠 전만 해도 내부 분쟁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던 오바마 행정부는 ISIL이 순식간에 이라크 영토의 3분의 1가량을 점령하자 '모든 옵션'을 고려하는 쪽으로 돌아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이라크에서 미국의 안보이익이 위협받을 때는 군사행동을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이라크에서 무인기(드론) 공습이나 다른 행동을 취할 것이냐'는 물음에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며 "국가안보팀이 즉각적인 군사 행동을 해야 하는지를 포함해 모든 옵션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 정치권과 언론은 오바마 행정부가 이라크 사태에 중장기적인 전략을 갖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공화당 등 보수파들은 오바마 행정부의 소극적 개입주의가 빚어낸 '외교 실정(失政)'이라고 각을 세우고 있다. 존 매케인(애리조나) 상원의원은 "모든 미군을 이라크에서 철수시킨 것은 실수였다"며 행정부의 국가안보팀 전원 경질을 촉구했다.
존 베이너(오하이오) 하원의장이 오바마 대통령에 대해 "도대체 낮잠을 자는 거냐"고 비아냥대자 워싱턴포스트(WP)의 보수적 칼럼니스트인 제니퍼 루빈은 한발 더 나아가 "낮잠 자는 게 아니라 항복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수니파·시아파 종교전쟁 번질 수도=이라크 내전은 이슬람 수니파와 시아파 간 종교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수니파 ISIL이 바그다드 코앞까지 진격하자 시아파 수천명이 자원입대를 신청하는 등 충돌 위기가 커지고 있어서다. 아랍권 위성방송 알자지라는 이라크 내 시아파 최고 성직자인 알리 알시스타니가 13일 긴급 성명을 내고 "나라와 국민을 보호하고 테러리스트와 싸우려면 자원해서 무기를 들거나 정부군에 합류하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이라크 북부 지역을 대부분 장악한 ISIL은 바그다드 점령을 목표로 남진을 계속하고 있다. ISIL 대변인은 "바그다드가 최종 목적지이며 시아파 성지인 남부의 카르발라와 나자프도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위협했다.
상황이 이러자 시아파 종주국인 이란이 이라크를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국경지대에 병력을 증강 배치하고, ISIL이 100㎞ 반경에 접근하면 폭격을 가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긴장하며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라크 내전이 자칫 인접국 확전으로 번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ISIL이 다른 지역 반군과 손잡으며 터키 등 주변국에도 공포가 커지고 있다. 터키 언론은 이라크 모술 주재 총영사 등 자국민 80명이 ISIL에 납치됐다고 보도했다. ISIL의 득세로 터키 정부와 쿠르드족 간 갈등도 악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유엔은 "최근 이라크 사태로 수백명이 사망하고 30만명이 난민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정건희 기자bwbae@kmib.co.kr
이라크 내전 여파… ‘오바마 新 외교독트린’ 시험대
입력 2014-06-14 0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