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 카드를 고수하며 정면 돌파에 나섰다. 내각 구성을 완료한 뒤 하루빨리 ‘국가 대개조’를 추진하려면 야권의 공세에 더 이상 밀릴 수 없다는 강력한 의지도 감지된다.
청와대는 문 후보자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 명의의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를 16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당초 13일 오후 국회에 보낼 계획이었으나 늦춰졌다. 문 후보자가 공직 경험이 없어 재산과 납세, 병역 등 인사청문요청서에 첨부할 서류를 새로 준비하는 데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강행 방침이 굳어진 만큼 국회 인사청문회 이전에 문 후보자가 자진 사퇴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교회 강연과 관련한 보도 이후 “오해의 소지가 생긴 것은 유감”이라며 한발 물러섰던 문 후보자가 법적 대응을 언급하며 강경 대응에 나선 것도 청와대와의 교감에서 비롯됐다는 관측이다.
새누리당은 지도부를 중심으로 총력 방어에 나섰다. 오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는 1시간10분짜리 문 후보자의 교회 강연 동영상을 직접 상영하며 논리적 방어점을 찾았다. 배수진을 친 청와대 기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여러 가지 논란이 있지만 본인의 소명을 신중하게 듣고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은 집권 여당이고 국정에 무한한 책임을 지고 있다”며 “한 나라의 총리를 결정하는 막중한 국사에 객관적 절차가 필요하고 신중히 입장을 정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윤상현 사무총장은 “전체 동영상을 보면 기독교인으로서 전혀 문제될 게 없는 발언인데 일부 언론이 악의적으로 짜깁기 보도해 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며 “청문회를 통해 본인이 해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문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던 초선의원 6명 등 당내 반발 기류는 완전히 수그러들지 않았다. 한 초선의원은 “사퇴를 촉구한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았다”며 “문 후보자가 스스로 물러나는 게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 지도부의 짐을 덜어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靑 정면돌파 기류에… 與 지도부도 ‘文 구하기’
입력 2014-06-14 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