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7개부처 개각 단행… 親朴 코드로 국정개혁 고삐

입력 2014-06-14 03:59 수정 2014-06-14 14:53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최측근 인사인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을 내정하는 등 7개 부처 개각을 단행했다.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참사로 불어닥친 대대적인 인적쇄신 바람 속에 '제2기 내각'을 출범시켰다.

이번 개각의 가장 큰 특징은 전날 청와대 개편에 이어 행정부에서도 친정(親政)체제를 더욱 강화한 것이다. 실세인 최 의원을 필두로 '친박(친박근혜)' 인사들을 내각 전면에 배치하면서 국정 장악력을 더욱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박 대통령은 최 의원 외에 신설되는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 김명수 전 한국교원대 교수,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최양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안전행정부 장관에 정종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각각 내정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는 정성근 아리랑TV 사장, 고용노동부 장관에는 이기권 한국기술교육대 총장, 여성가족부 장관엔 김희정 새누리당 의원이 내정됐다.

박 대통령은 개각을 통해 인적쇄신을 사실상 마무리하고 세월호 참사 이후 2개월 가까이 중단됐던 국정운영에 재시동을 걸 계획이다. 청와대와 행정부 전면에 포진한 친박 정치인들을 통해 자신의 국정철학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포석이다. 박 대통령의 정부·청와대 친정체제는 다음달 14일 열리는 새누리당 전당대회 결과에 따라 '당·정·청 친정체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자신이 가장 신임하는 최 의원을 경제팀 수장에 앉히면서 향후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를 경제 살리기에 둘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국가 대개조와 국민안전,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교육과 사회·문화 부문의 개혁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개각 배경을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국정개혁과 안전을 책임지는 국무총리와 경제 및 비경제 분야를 총괄하는 부총리 2명 등 이른바 '3톱 체제'로의 국정 운영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박 대통령의 국정 플랜에도 변수는 있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과거 발언에 대한 비판 여론이 문제다. 또 한번의 총리 후보자 사퇴로 이어질 경우 대통령의 국정 구상은 막대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이번 개각에서 경제부처 장관들은 현오석 경제부총리, 최문기 미래부 장관을 제외하곤 자리를 지켰다.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세월호 수습을 마무리지어야 한다는 점이 고려돼 유임됐다. 이번 개각은 국정공백 최소화 차원에서 정홍원 총리가 문 후보자와의 협의 후 제청권을 행사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