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총리 인사검증 난관에 진땀나는 청와대

입력 2014-06-13 04:00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12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에 마련된 자신의 집무실로 출근하다 취재진의 질문 공세를 받고 있다. 김지훈 기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과거 발언들이 큰 파장을 일으키자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안대희 전 총리 후보자 낙마에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고심 끝에 내정한 문 후보자까지 논란이 확산되는 것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당초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중폭 규모로 개각을 단행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문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면서 개각 일정이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은 청와대 참모진 개편안만 발표됐다.

문 후보자까지 사퇴한다면 박 대통령이 천명한 '국가 대개조'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국가 개조의 신호탄이 바로 총리를 비롯한 인적쇄신이었고, 새 총리가 박근혜정부의 개혁을 주도하는 역할로 주목받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문 후보자와 관련된 논란이 추가로 터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내정된 뒤 이틀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여기저기서 계속 여론 검증이 이어지고 있다. 과거 발언과 기자 시절 쓴 글은 물론 박사학위 논문까지 더 큰 파장을 야기할 '꺼리'들이 추가로 폭로될 것이란 추측이 무성하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어제 상황(문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는 다 파악하고 여론의 추이도 충분히 보고 있다"고 밝혔다. 문 후보자 발언을 사전에 알았는지 여부에 대해선 "(지명 이전에) 보도된 사안이 아니어서 저희들이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민 대변인은 문 후보자의 발언 논란이 개각 시기에 영향을 미쳤는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을 수는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여당 초선의원들까지 문 후보자 사퇴를 촉구하고 나서면서 청와대로서는 개각안을 예정대로 발표하기도 다소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세월호 참사로 국정공백이 장기화된 사정을 더 방치할 수는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 때문에 이미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총리가 국무위원 제청권을 행사해 13일에는 새 장관 후보자들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