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지배와 남북 분단을 ‘하나님의 뜻’이라고 말해 역사인식 파문을 불러일으킨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의 악의적이고 왜곡된 편집으로 오해되고 있다”며 법적 대응을 불사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문 후보자는 12일 총리실을 통해 배포한 보도 참고자료를 통해 “강연은 종교인으로서 교회 안에서 한 것이어서 일반인의 정서와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다”며 “그런 점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생긴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그는 “강연의 특정 부분만 부각돼 전체 취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강의는 우리 민족사에 점철된 시련과 이를 극복한 민족의 저력을 주제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석우 총리실 공보실장은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에서 청문회준비단 명의로 기자회견을 갖고 “악의적이고 왜곡된 보도내용 대부분이 해당 동영상 전체를 시청하거나 전체 문맥을 파악하지 않고 특정 글귀만 부각한 상황”이라며 “해당 언론사 보도 책임자를 상대로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무총리실 인터넷 사이트에 후보자 강연 전문과 동영상을 게재하여 국민들이 직접 판단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문 후보자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자택 앞에서 출근하다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논란이 되는 발언에 대해 사과할 계획이 없느냐’는 질문을 받고 “사과는 무슨…. 사과할 게 있나”라고 답했다. 또 “홍보실(총리실 공보관실)을 통해 다 설명했다. 그러니까 그걸 그대로, 그것 이상 내가 할 얘기를 아끼겠다”고도 했다.
문 후보자는 앞서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전공선택과목인 ‘저널리즘의 이해’ 과목 강의에서 “일본으로부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과 받을 필요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업을 수강했던 학생 A씨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 교수님이 ‘우리나라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굳이 일본의 사과를 받아들일 정도로 나약하지 않은 국가가 됐다’며 ‘우리는 위안부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도 잘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진정한 언론인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 후보자는 또 우리나라 사람들이 반일감정에 지나치게 사로잡힌 나머지 객관적으로 국제적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한다는 취지의 발언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2005년 3월 7일에 썼던 ‘나라의 위신을 지켜라’라는 제목의 칼럼에서도 “위안부 배상 문제는 이미 40년 전에 끝났다”고 썼다.
신창호 김유나 기자 procol@kmib.co.kr
文 후보자 “사과는 무슨… 설명 다 했다”
입력 2014-06-13 0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