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일제 식민지배와 남북분단을 정당화하는 발언을 한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지명 철회를 촉구하며 일제히 총공세에 나섰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일본 극우교과서보다 반민족적인 친일역사관” “조선총독부 관리와 같은 발언” 등 맹비난을 퍼부었다.
새정치연합은 문 후보자가 가진 친일·반민족적 역사관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판단이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식민지 근대화론이나 위안부 사과와 배상은 필요 없다는 이야기는 일본 아베 총리 정부가 하는 말”이라며 “도대체 어떻게 이런 인사를 총리 후보자로 내세우느냐”고 비판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문 후보자의 입장에 동의하는 게 아니라면 더는 국민 마음에 상처주지 말고 인사를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이런 사람을 총리로 임명하면 3·1절과 광복절에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겠느냐”며 “얼마 전 돌아가신 배춘희 위안부 할머니는 어떻게 생각하겠느냐”고 지적했다.
박광온 대변인은 “헌법과 건국정신을 부정하는 사람이 총리를 맡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질타했다.
문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소상히 밝히겠다”는 입장이나 새정치연합은 인사청문회를 진행할 것도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의총에서 “청와대는 미처 살피지 못했다고 한다”며 “(문 후보자가) 청와대의 인사검증은 무난히 통과했을지 몰라도 국민의 인사검증은 통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야당은 문 후보자의 지명철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박 대통령을 비롯한 청와대의 역사인식까지 직접 문제 삼겠다는 태세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연이어 총리 인사 검증에 실패한 책임을 묻겠다는 분위기도 강하다.
일제 식민지배 정당화는 당시 강제동원됐던 피해자들과 위안부 할머니들의 분노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폭발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박지원 의원은 트위터에서 “식민사관의 총리 후보자는 자퇴나 지명철회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원식 최고위원도 트위터에서 “어찌 보수는 이리도 민족을 못살게 하느냐”고 꼬집었다. 제주 4·3사건을 폭동으로 규정한 것 역시 피해자들의 반발이 불가피하다. 제주 출신의 새정치연합 강창일·김우남·김재윤·장하나 의원은 공동 성명을 통해 “임명 강행은 4·3 희생자와 유족들의 가슴에 대못질을 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일부 새누리당 의원들이 문 후보자를 옹호하자 “제정신이냐”고 비난했고, 정의당 천호선 대표는 “21세기 대한민국에 일제식민정부를 세울 수는 없다”고 한탄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野 “문창극, 국민 검증 통과 못해… 청문회 불필요”
입력 2014-06-13 0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