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속 개각 키워드 ‘추진력’… 빈자리엔 靑 수석들 입각설

입력 2014-06-12 04:01
금명간 단행될 박근혜 대통령의 인적 쇄신 키워드는 '추진력'이다. 박 대통령은 철도파업 등 정국이 어려울 때마다 각 부처 장관들이 적극적으로 전면에 나서지 않는다며 어려움을 토로해 왔다. 여권 관계자는 11일 "곧 출범할 2기 내각에는 국정과제를 힘 있게 추진할 인사를 적재적소에 배치한다는 게 대통령의 구상"이라고 말했다.

이번 개각에서 최대 관전포인트는 '현오석 경제팀'의 전면 교체 여부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끄는 경제팀은 시장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해 신뢰를 잃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박근혜정부의 핵심 국정기조인 창조경제 부문에서 성과를 내야 할 미래창조과학부도 좋은 평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철도파업에서 미온적 대응으로 논란에 섰던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도 개각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부처 장관들로 추진력 있는 새누리당 정치인들이 부쩍 자주 거론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경제팀은 또 박 대통령이 척결 대상으로 언급한 '관피아'(관료+마피아)와도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대폭 물갈이가 불가피한 대목이다. 김동연 국무조정실장의 경제부처 입각설도 꾸준히 거론된다.

세월호 참사의 직격탄을 맞은 교육부와 안전행정부 역시 장관 교체가 확실시된다.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도 교체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사고 현장에 남아 끝까지 최선을 다한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수습이 마무리되면 장관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지가 워낙 강하다. 외교부와 통일부는 유임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국방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 안보라인이 대거 바뀐 점이 고려됐다.

교체 대상인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은 이미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일부는 입각이 유력하다. 이들은 박 대통령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은 점도 고려됐다고 한다. 물론 한정된 인재 풀(pool)에서 당장 새로운 인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조원동 경제수석에 이어 외교관 출신인 박준우 정무수석은 공석이 된 주일대사 후보로 거론된다. 박 수석은 외교부 아태국장(현 동북아국장)을 지낸 '일본통'이다. 유민봉 국정기획수석은 유임 가능성이 높다. 김기춘 비서실장은 한시적 유임에 무게가 실린다.

내각·청와대 개편의 변수는 16∼21일 이뤄지는 박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이다. 일부 부처 장관은 박 대통령 순방을 수행한다. 수행 장관 중 교체 대상이 있다면 이들의 거취는 이달 말쯤 결정될 수도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