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기(67)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지명으로 앞서 임명된 김관진(65)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더불어 외교안보 ‘투 톱’ 인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이 조정될지 주목된다.
우선 군 출신인 김장수 전 안보실장과 남재준 국정원장이 빠지면서 강경 기조의 대북정책이 보다 대화·협력 쪽으로 유연해질 수 있다는 게 정부 안팎의 대체적인 평가다. 여기에는 이 후보자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 부분 반영돼 있다.
1기 외교안보팀이 안보에 중점을 두고 대북정책을 폈다면 2기 외교안보팀에서는 ‘전략통’으로 불리는 이 후보자가 좀 더 실리적으로 대북정책을 가져갈 거란 전망에서다. 북한 문제는 한국 외에 미국 중국 일본 등이 같이 끌어가는 만큼 복잡한 고차방정식을 푸는 데 전략가인 이 후보자의 목소리에 힘이 실린 거란 얘기다.
이 후보자는 최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으로 추가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박근혜 대통령 사단’이란 공통분모로 막역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또 개각과 청와대 개편에서 추가 인사가 없으면 외무고시 8회인 이 후보자 외에 윤병세 외교부 장관,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김규현 국가안보실 1차장 등 4명이 외시 출신으로 NSC 상임위원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이와 함께 1년 넘게 경색된 남북관계가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진창수 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장은 11일 “지금까지 대북정책 기조가 안보에 방점이 찍혔다면 이제는 전략 외교로 방향을 틀 시점이 왔다”면서 “관련 부처와 잘 조율해 대북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박 대통령에게 설명할 인물로는 이 후보자가 적격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결심’이 서지 않는 한 대북정책의 큰 기조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현준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장은 “박 대통령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처럼 미국과의 공조 균열을 감수해가며 대북 문제를 풀어나갈 스타일은 아니어서 한·미 공조 차원에서 기존 대북정책을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등 자신의 대북 구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하반기쯤 인도적 지원 확대나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박근혜정부 2기 외교안보팀, 대북정책은… 軍 3인방→ 외교관 4인 중심축 이동
입력 2014-06-12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