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철도궤도社 회장 2명 거액 비자금 포착

입력 2014-06-12 03:33
국내 대표적인 철도건설 업체 2∼3곳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해 공무원 로비 자금으로 사용한 정황이 검찰에 포착됐다. '철피아'(철도+마피아) 유착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은 해당 업체 오너들을 횡령과 뇌물공여 등 혐의로 조만간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김후곤)는 2009년 호남고속철도 오송∼익산 구간(1공구) 궤도부설 공사를 따낸 궤도공영이 하도급 업체에 공사대금을 부풀려 지급했다가 차액을 돌려받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만든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 궤도공영 측이 과다 계상한 공사비를 반환받아 자금 세탁을 한 뒤 D사 등 관계사 계좌에 다시 입금해 비자금으로 관리·사용했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검찰은 궤도공영 경영진이 2009년에만 7억원대 회삿돈을 빼돌리는 등 최근까지 수십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했고 그 가운데 일부를 발주처인 한국철도시설공단 임원들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 수사 대상에는 이재황(66) 궤도공영 회장도 포함됐다. 이 회장은 13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노태우 전 대통령의 친위 조직이던 '월계수회' 회장으로도 활동했다.

검찰은 또 정도원(67) 삼표그룹 회장의 뇌물공여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철도궤도 공사 업계 1위인 삼표이앤씨는 경부고속철도 대구∼울산 구간(4공구), 호남고속철도 익산∼광주송정 구간(2공구) 공사 과정에서 거래 업체에 대금을 부풀려 줬다가 돌려받은 뒤 비자금을 만든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정 회장이 가공의 직원에게 허위로 임금을 지급하는 수법으로 회삿돈을 빼낸 단서를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비자금 중 일부가 철도시설공단 고위층 로비에 활용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공단이 발주한 궤도공사 관련 정보 제공, 입찰 시 편의 제공 및 담합 사실 묵인 등의 대가로 금품을 건넨 정황이 나왔다는 것이다. 궤도공영과 삼표이앤씨는 호남고속철도 1, 2공구 궤도공사 수주 과정에서 서로 투찰 가격을 조작해 입찰에 참여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국민일보 6월 4일자 1·8면 보도). 삼표이앤씨 부회장인 신모 전 철도청장 등 삼표그룹이 영입한 철도 관련 공무원 출신 인사들이 로비 창구로 지목된다. 삼표이앤씨 관계자는 "회사 차원의 비자금 조성과 로비 의혹은 근거 없는 얘기"라고 반박했다. 검찰 관계자는 "여러 의혹을 살펴보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확인해줄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