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11일 전격 금수원에 경찰 병력 63개 중대 6300여명을 대동하고 다시 압수수색에 나선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질책성 발언 이후 뭔가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6·4지방선거 이후 시기를 검토해 왔지만 박 대통령이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을 못 잡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언급하자 전격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최재경 인천지검장과 김회종 2차장검사는 전날 오후 5시쯤 마라톤 회의를 통해 이 같은 입장을 최종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회종 2차장검사는 11일 오후에도 검사장실에서 회의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의 본산이자 치외법권 지역으로 불리며 검찰의 자존심에 상처를 안겨준 경기도 안성 금수원을 압수수색 대상으로 삼았다. 압수수색 성과가 별로 없더라도 박 대통령의 질책에 가만히 있기보다 뭔가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한 제스처일 수도 있다.
검찰 수사를 피해 도주 중인 유 전 회장의 도피 자금줄과 지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유병언 부자의 소재와 관련한 소문을 정밀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 신도들은 유 회장이 금수원에 없다고 거듭 밝히고 있으나 눈으로 직접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검·경은 금수원의 마지막 성역인 예배당 앞에서 박모(43)씨를 추가 검거하는 등 예배당 주변에 경력을 집중 배치했다.
그러나 검찰의 이러한 강경 대응이 뒷북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초기부터 구원파와 유 전 회장의 책임 문제가 거론됐으나 검찰은 유 전 회장의 동선을 사전에 파악해 놓지 않고 있었다. 뒤늦게 검거에 나섰지만 유 전 회장의 도피를 돕는 구원파 신도들의 조직적인 움직임을 당해내지 못하고 쩔쩔매고 있다. 결국 사고 초기 대응에서도 허둥댔던 정부가 유 전 회장까지 못 잡을 경우 검찰의 체면이 땅에 떨어지는 것은 물론 박 대통령에게도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위기감 때문에 전격적인 압수수색을 벌였지만 효과는 미미할 전망이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檢, 왜 이 시점에 전격 진입했나… 朴 대통령 질책에 압박감, 서둘러 강행
입력 2014-06-12 03:42